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6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누가 나를 이해해 줄 것인가?

 

진실이 사라진 들녘에는 거둘 것이 없다.

알곡은 사라지고 쭉정이만 남아있기 때문이다,

 

고통 가운데 있는 사람에게는 해답을 주는 사람이 필요한 게 아니라

자기의 말을 들어 주고 이해해주고 함께 있어 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이해받지 못하는 고통이 얼마나 큰 고통인가?

인류에게 보편적 고통은 바로 그 고통일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이해받지 못하는 고통과 고독을 거느리고 살아간다.

어려움이 닥치면 자신을 이해해 줄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하지만

이 세상에는 자신을 온전히 이해해줄 그런 사람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잘 듣고 이해해주어야 하는 역할을 맡은 사목자들과

형제들을 돌보아야 할 책임이 있는 이들은

확인할 수 없는 이야기가 밖에서 들려오면 직접 듣고 확인해보지도 않고

섣부른 판단과 해답으로 당사자를 오히려 더 힘들게 할 때가 있다.

 

성급한 해결책을 제시하기에 익숙한 사람은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이다.

듣지 않고 자기 이야기만 늘어놓기 때문이다.

책임회피, 변명, 합리화는 귀에 익은 논리가 되었다.

 

쭉정이들이 판을 치는 세상에서

조금이라도 누군가가 나를 이해해주고

관심을 가지고 함께 있어 주는 사람이 있다면

놀랍게도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문제들은 사라진다.

 

동반과 부축과 동행

예수께서 실천하셨던 하신 일이 바로 그 일이다.

그분께서는 우리와 함께 길을 걸으시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우리를 중심으로 부축하셨다.

그분은 겉으로 드러난 현상 뒤에 숨어 있는 원인과 동기들에 관심을 보이셨다.

그분의 치유 이야기들은 그 사람 안에 있는 진실한 내면의 믿음에 희망의 불을 놓으셨다.

 

네 믿음이 너를 살렸다.”

조금이라도 희망의 씨가 살아 있다면 거기에 힘을 보탰다.

외부로부터 오는 치유가 아니라 내부로부터 오는 치유가 일어났다.

열쇠를 가진 사람은 대부분 바로 자신이다.

그러나 밖으로부터 힘을 받지 못하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렵다.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그것은 이해하는 힘이다.

함께 있어 주고 이해해주고 공감하는 거기에 치유가 있다.

 

영적인 삶에 있어서

어떻게 말할까를 아는 것보다

어떻게 들을까를 아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한 이유가 거기에 있다.

 

잘 들어야 이해할 수 있다.

이해해야 공감할 수 있다.

공감으로부터 하느님의 자비가 흘러오고 흘러간다.

 

하느님의 돌보심이 우리에게 맡겨졌다.

내면의 진실을 들으라고 귀를 주셨고,

이해하라고 따뜻한 가슴을 주셨으며

더운 피가 흐르도록 맞잡을 손을 주셨다.

 

너도 가서 그렇게 하여라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4 생존에서 그리스도의 신비로, 생존에서 그리스도의 신비로,   우리 인생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눈다면 전반부와 후반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대부분 전반부의 인생은... new 이마르첼리노M 2024.06.20 8
1503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사람들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사람들   나는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표지를 성사라고 배웠고, 볼 수 없는 하느님이 볼 수 있는 하... 이마르첼리노M 2024.06.18 399
1502 자연은 진화하는 몸으로 죽으면서 내어주고 내어주면서 죽어 갑니다. 자연은 진화하는 몸으로 죽으면서 내어주고 내어주면서 죽어 갑니다.   자연 생태계의 모든 피조물은 개별적으로 돌보시는 하느님의 손길에 의해 움직입니다. 숲... 이마르첼리노M 2024.06.15 274
1501 형제적 동등성이 있는 곳에 공존과 평화가 있습니다. 형제적 동등성이 있는 곳에 공존과 평화가 있습니다.   새로운 아침마다 무상의 선물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화려하고 다양한 색깔로 날마다 새로운 모습... 이마르첼리노M 2024.06.12 375
1500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당신의 삶에서 경탄함의 문으로 들어갈 때, 당신이 일상사의 빛을 경험하게 하는 단순한 방식들은 무엇인가? 다른 말로 하면, 당신의... 김상욱요셉 2024.06.12 21
1499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실재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실재   우리는 언제나 자신과 자신이 하는 일에만 관심을 두어 주변에 있는 실제 사실을 보지 못하고 살아갈 때가 많습니다. 무거운... 이마르첼리노M 2024.06.09 243
1498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하느님은 인간이 만든 틀 속에 계시지 않는다. 틀에 묶여있는 사람과 틀을 벗어난 사람의 차이는 자유의... 이마르첼리노M 2024.06.03 204
1497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이 땅에 사람이 되시어 우리 눈에 볼 수 있는 존재... 이마르첼리노M 2024.05.31 54
1496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내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존재하고 있고 어떤 희망을 두고 살아가고 있는가를 회상하는 삶은 회상을 통하여... 이마르첼리노M 2024.05.29 60
1495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아이스크림 하나를 손에 들면 그 이상 바라 것이 없는 듯, 모든 복잡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완전히 잊... 이마르첼리노M 2024.05.26 80
1494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진실로 포장된 가면을 벗으면 웃을 수 있습니다. 기억 속의 신비로운 화환처럼, ... 이마르첼리노M 2024.05.25 127
1493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프란치스칸 가난은 자기를 열어드리고 내어드려 하느님께서 말씀을 잉태할 모태가 되게 해... 이마르첼리노M 2024.05.24 114
1492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32
1491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음 생활은 따르고 사랑하고 용서하는 자비의 길)   세례성사로 시작되는 그... 이마르첼리노M 2024.05.21 105
1490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복잡한 세상에서 하느님을 찾는 프란치스칸들은 하느님과의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 세상과의 관계에서 영적인 길을... 이마르첼리노M 2024.05.17 9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