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8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내어주는 몸과 쏟아 내는 피의 현존

 

너희는 받아먹어라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내어주는 내 몸이다.”

 

너희는 받아마셔라

너희를 위하여 내어주는 나의 피다.”

 

내 살은 참된 양식이며 내 피는 참된 음료라고 말씀하셨다. (요한 6,55)

 

나는 성찬례가 거행되는 수없이 많은 미사에서

그분의 몸을 받아먹고 때로는 그분의 피를 받아 마시기도 하였다.

그분의 몸을 받아먹는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차리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몸이 상징하는 실재는 예수님의 영적인 신성이

육체적인 인간성을 통해 나에게 육화되도록

당신의 몸을 우리에게 주시고자 하신다는 깨달음이었다.

말씀이 사람이 되신 예수님의 육화가

몸과 피를 먹고 마심으로 나의 삶으로 육화되도록

내어주시는 몸과 쏟는 피라는 사실이었다.

 

나는 내가 범접할 수 없는 그분의 신성에 참여하는 길을 발견하였다.

몸을 다른 사람에게 주는 일은 사랑의 구체적인 실재다.

예수께서는 영적인 현존을 육적인 차원으로 만들어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되게 하셨다.

먹을 수 있고, 씹을 수 있고, 소화 시킬 수 있는 몸으로 내어주시는 것이다.

 

먹고 마시는 일은 생존을 위한 인간의 보편적 현상이다.

자신을 음식으로 내어주는 일은 우리에게 맡겨졌다.

누군가에게 생명을 주는 일은 살과 피를 통한 앎이었다.

나를 너에게 내어놓는 구체적인 토대가 마련되었다.

무죄한 피와 연대해서 살아가도록 초대하는 것이며

불의한 고난에 처해 있는 이들과 연합하는 것이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는 피의 성사였음을 알게 되었다.

피 흘림의 최종적 의미가 주는 삶이

나의 구체적인 삶 안에 육화되는 이 참여야말로

너와 나의 관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내어주는 몸과 피 흘림이 없는 관계는 없다.

 

그리스도의 현존을 빵과 포도주에 한정시키는 믿음은

성사의 관계적 의미를 축소 시킨다.

빵과 포도주는 완전한 사람들을 위한 상이 아니며 선행을 위한 보상도 아니다.

그것을 먹는 사람들이 합당해서가 아니며

모두가 상처 입은 사람들이며 합당치 못해서이다.

인간의 여정을 위한 음식이며 병자들을 낫게 하는 약으로 주는 음식이다.

성한 사람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자에겐 필요하다.

나는 선한 사람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마르코 2,17)

 

우리는 성체를 받아 모시기에 앞서 이렇게 말한다.

한 말씀만 하소서. 내 영혼이 치유될 것입니다.”

내 안에 말씀하실 자리가 없이 사는 우리에게

말씀이 육화될 땅이 있다면 고쳐질 것이라는 말이다.

빵과 포도주와 말씀

내어주는 몸과 쏟아 내는 피는 말씀과 분리될 수 없는 현실이다.

받아들여진 말씀이 있는 곳에는 내어주는 몸과

너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흘리는 피가 있으며 관계의 치유가 있다.

말씀이 받아들여진 마음의 밭에서 수확하는 열매들이다.

 

먹는 일은 마음과 마음이 만나는 일이다.

하느님의 현존을 먹으면서 만나고 체험한다.

하느님의 신비를 씹어 먹음으로 아는 것이다.

이처럼 신비는 내 안에서 소화되는 음식으로 전해진 현존이다.

나는 그분 안으로 그분은 내 안으로 현존하게 되는 신비의 성사다.

그분을 먹은 내가 사는 방식은 그분의 방식과 다를 수 없다.

 

너도 가서 그렇게 하여라라고 말씀하시기 때문이다.


우리를 향한 하느님의 간절한 열망

하느님을 향한 우리의 간절한 열망이 만나는 곳에

신적 현존이 발생하는 신비가 거기에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만드는 변화들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만드는 변화들   1. 멈춤 통제와 조종 의존하게 만들던 거짓 사랑, 자신을 의롭게 하려고 스스로 부과한 희생   2. 대면 ... 이마르첼리노M 2020.04.03 428
346 부재의 신비 부재의 신비   내가 그분을 붙잡았다고 느끼면 그분은 더 멀어지고   내면의 소란을 잠재우려고 하면 소리로 가득 찬 나를 본다.   내가 앞으로... 이마르첼리노M 2020.11.25 427
345 어느 죄인이 드린 기도 어느 죄인이 드린 기도   주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가 당신을 불쌍히 여기고 있나이다.   어둠을 숨기느라 빛을 이용하다가 억압과 결핍을 들키... 이마르첼리노M 2020.04.02 427
344 조건 없는 사랑이 가르쳐준 삶 조건 없는 사랑이 가르쳐준 삶   나는 상선벌악의 교리를 배우면서 자랐고 수도원에 입회했다. 젊은 시절에 나는 하느님이 주신 재능으로 많은 일을 해왔다... 이마르첼리노M 2020.03.20 427
343 아침 아침은 때가되어 밝아오는것이 아니라 어두운밤과 고요한새벽을 지나올때 그제서야 밝아올수가 있는것이다. 어떠한날의 아침도 어두움을 거치지 않고서는 날이 밝... file 일어나는불꽃 2019.12.14 425
342 죽음을길들이기 죽음을 길들이기   실제로 사랑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사랑의 대상이 된 이들이 아직 붙잡지 못한 것과 변화시키지 못한 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들이 두... 이마르첼리노M 2019.10.06 425
341 부활의 증인들이 모인 교회에서 부활의 증인들이 모인 교회에서   자기 사랑으로 시작해서 공동체적 사랑을 거쳐 보편적 사랑에 이르는 점진적 사랑 우리가 가야 할 여정의 목표다.  ... 1 이마르첼리노M 2021.04.15 424
340 기쁨 (축성생활의 날에) 기쁨 1   새벽에 잠깨면 벌써 술렁이는 마음 연한 슬픔이 연초록 끝에 이슬처럼 달려있다.   어디서 온 것일까 누구에게 온 것일까   ... 이마르첼리노M 2021.02.02 422
339 주님이 태어나시는 땅 주님이 태어나시는 땅   왕이 되려는 갈망을 넘어 스스로 왕이 되어 왕권을 넘보는 이들을 가차 없이 죽이는 문화,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왕들이 되어 왕들의 전... 이마르첼리노M 2022.12.24 421
338 정동 이야기 (8) 정동 수도원 이야기 (8)  아름다운 기억 그동안 정동 수도원에 수많은 사람들이 거치면서 프란치스칸 영향력으로 많은 사람들이 세례를 받게 되었는데 그중... 이종한요한 2022.01.15 421
337 성사(聖事), 자연 안에서 경탄하는 신비 성사(聖事), 자연 안에서 경탄하는 신비   자연 안에서 오래 침묵할 줄 아는 사람은 자연 안에서 경탄한다. 자연과 하나 되어 자연의 한 부분으로 피조물을 ... 이마르첼리노M 2021.08.12 421
336 회개(회심)의 성찰 1 회개(회심)의 성찰 1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1,16)   사순절을 눈앞에 두고 회개한다는 것이 무... 이마르첼리노M 2020.02.24 421
335 나의 아버지요 형제인 성프란치스코 나의 아버지요 형제인 성프란치스코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부르시고 그들에게 정보를 주기보다는 관계를 중심으로 가르치셨다. 제자들은 예수님에게서 ... 이마르첼리노M 2019.10.04 421
334 네 안에 살기 위해서 네 안에 살기 위해서   예수께서는 폭력이 구원한다는 거짓말 대신에 사랑이 구원한다고 가르치셨다.   죽은 이들을 구원하는 교회에서 살아있는 이... 이마르첼리노M 2019.09.23 420
333 연약하고 무력한 두 손으로 연약하고 무력한 두 손으로   나의 우물은 깊다. 그러나 밖에서 물을 찾는 건 갈증을 해결할 수 없었다. 그리스도 예수께서 나에게 하신 일은 내면의 양... 이마르첼리노M 2020.12.02 419
Board Pagination ‹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