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8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악의 신비 앞에서 (악을 깨우는 악)

 

악은 언제나 분열과 분리를 시키려고 한다.

하느님은 우리의 인격을 온전하게 하시지만 사탄은 우리를 분열시킨다.

상대방이 악하다고 생각하는 한, 너와 나의 화해의 길을 멀다.

비난을 좋아하는 사탄은 언제나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서 악을 발견하고 공격하도록 부추긴다.

우리 모두에게는 악한 부분이 있고 폭력적인 근성도 있다.

그 부분을 책임감 있게 다스리지 않는 한

자신을 꼭대기에 올려놓고 계속해서 희생자들을 찾고 만들어 가게 될 것이다.

 

하느님만이 사람들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신다.

내가 그 역할을 하려면 어느 정도 고난을 감수해야 한다.

양편의 사람들이 나를 밟고 올라서도록 받쳐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는 종교적이고 사회적인 문화가 만들어 낸 논리에 따라 살아왔다.

인과응보와 착한 사람 상주고 악한 사람 벌주는 문화가 그것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논리들은 대부분 진리와는 거리가 멀었다.

내가 만든 틀에 다른 사람을 가두고

반대자들은 그러한 나를 미워하고 틀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예수께서 당신을 진리라고 하셨다.

그래서 진리를 따라 사는 사람은 변화의 길을 간다.

하느님께서 나를 깨뜨릴 때 나는 믿음의 위기를 겪었다.

그러나 하느님은 그 위기 속에서 일하셨다.

자만심과 자신의 의로움에 가득 찬 나를 깨뜨리지 않았다면

내가 화해를 낳는 사람이 될 수 없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세상은 화해하기를 두려워한다.

적이 있어야만 집단의 결속력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을 비난하고 탓하는 사람은

자신의 선을 드러내기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할 때가 많다.

그러나 사람을 사랑의 대상이 아닌 이용 대상으로 보는 한 관계의 회복은 불가능하다.

 

하느님께서 나를 깨뜨리시는 방법 속에는 악과 고통이 있었다.

악과 고통도 하느님께서 나를 이끌어가는 방법의 하나였다.

나의 진실은 악의 공격으로 방해를 받을 때 드러났다.

다른 사람이 나를 까닭 없이 미워하거나 내 잘못이 아닌 것을 잘못이라고 할 때,

남들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확인해보지도 않은 채,

마치 증명된 사실처럼 말하고 여기저기 퍼뜨릴 때,

여기저기 수군거리는 소리와 죄인으로 단정 짓고 쏘아대는 의심의 화살들,

나는 무력하고 연약한 마음으로 수치를 견뎌야 했고

그로 인하여 하느님께서는 내 죄와 내가 지닌 마음의 진실을 바라볼 수 있게 하셨다.

나의 마음은 아버지께서 반대 받는 표적으로 인류 앞에 세우신

벌거벗긴 십자가의 예수께 집중하였다.

예수께서는 구원하는 폭력이 아닌 구원하는 고난을 선택하셨다.

그것은 하느님의 가난하심과 선하심을 행동하는 자비로 실천하신 결과였다.

나에게 있어 아픔의 시간은 십자가에 못 박히신 하느님의 마음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나는 하느님께서는 악을 지어내셨다고 믿지 않는다.

그러나 악은 분명하게 느낄 수 있다.

중요한 사실은 하느님께서는 나의 유익을 위해서

악과 고난을 사용하고 계셨다는 사실이었다.

 

선을 드러내 주는 것이 악이다.

어둠이 있어야 빛을 알 수 있듯이 말이다.

그러므로 온전한 선은 악을 포함하는 선이라고 생각한다.

하느님께서 악을 우리의 유익을 위해 사용하시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 생각이 틀렸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하느님은 선이시라고 믿는 나의 믿음이다.

 

나는 내 안에 악과 고난의 흔적을 지니고 살아왔다.

거기서 나의 진실한 내면을 보게 되었고 하느님에 대한 믿음이 성장해 왔다.

가난한 마음과 겸손하고 온유한 마음을 배우는 학교가 거기에 있었기 때문이다.

 

인간을 변화시키는 위대한 역사는 그렇게 지속되어 왔다.

예수께서 가신 길을 따라가는 이들이 겪는 내면화의 과정에는

벗어나고 싶고, 숨고 싶고, 달아나고 싶고, 그만두고 싶고, 죽고 싶은 마음이 있다.

그것이 깨지는 아픔이며 고난의 흔적이다.

 고난의 흔적이 있는 사람은 겸손하다.

밖으로 휘두르던 칼을 안에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나는 오늘도 고난의 흔적을 지닌 채

온화하고 고요한 평화를 지니기 위하여

안으로부터 일하시는 분과 함께

내가 만나게 될 너를 향하여 말없이 길을 떠난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8 세계적인 기타리스트가 성심원에 간 까닭? http://blog.daum.net/sungsim1뒤에는 지리산이 버티고, 앞으로는 경호강이 흐르는 산골, 산청 성심원(원장 이건주 수사)에 현의 마술사 ‘마르코 소시아스(Marco ... 성심원 소식지기 2010.02.25 5768
357 두문청산(杜門靑山)/오수록 두문청산(杜門靑山)/오수록 사람아 때론 분주했던 일손을 잠시 놓고 청산에 깃들어 볼 일이다. 번뇌와 시름일랑은 훌훌 털어버리고 흘러가는 구름도 무심으로 쳐... 슬이 2010.02.22 7863
356 여주 남한강변-도리섬을 아시나요? http://cafe.daum.net/Gangsarang도리섬을 아시나요? 정 겨 운 굽이굽이 물길을 돌아 구불구불 산길 따라 돌아 문명을 피해 돌아앉은 도리섬을 아시나요? 여주군 ... 4 정겨운 2010.02.20 7119
355 개신교 이해하기??? 종교탄압 현장 &quot;피해자들의 한 맺힌 절규!&quot; 29일 '종교의 자유, 인권회복을 위한 범국민대회' 개최 부산 이재현 기자 29일 오후2시부터 한국기독교총연합회관 앞 ... 막달레나 2010.01.19 6137
354 2010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 주간 담화문(1월 18일~25일) [담화] 2010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 주간 담화문 2010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 주간 담화문 (1월 18일~25일) “너희는 이 일의 증인이다”(루카 24,48) 친애하는 교... 대화일치 2010.01.13 11373
353 생명의 강 보존을 위한 미사 봉헌 http://www.mikorea.or.kr+ 평화와 착함 잘 아시는 바와같이, 4대강 사업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어가고 있습니다. 이곳 양수리도 예외가 아닙니다. 양수리 수도원 ... file 최영선 2010.01.13 5898
352 수고하십니다. 남을 이기고 산다는 생각을 갖지 말고 최선을 다하고 산다는 생각을 가져라. 그러면 지고서도 이기는 복록이 돌아오느니라. 상대방이 설령 잘못이 있더라도 스스... 서현 2010.01.12 5854
351 가톨릭의두얼굴 한국가톨릭의 두얼굴 한해를 정리하며 제 가슴에 맺힌 한을 이야기 하고자합니다. 종교가 가톨릭은 아니지만 가톨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던 저는 올여름... 1 윤향규 2010.01.06 11658
350 아직 가슴이 살아있는 그대를 위해..박노해 사진전 그대, ‘박노해’라는 이름을 기억하는가? ‘노동의 새벽’을 노래 했던 시인이자 노동자이자 혁명가 ‘박노해’ 이제, 지구시대 가장 가난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 곁에... 낡은 흑백 카메라 2009.12.28 5668
349 프란치스코 영화를 보고 나서(IV)-프란치스코의 단순한 형제들 회칙의 해석 없는 실천-프란치스코의 단순한 후예들 저는 Roberto Rosselini의 “The Flowers of St. Francis(성 프란치스코의 잔 꽃송이들)”를 보고 “회칙의 해석... 4 김 레오나르도 2009.11.28 6662
348 프란치스코 영화를 보고 나서(III)-프란치스칸 형제 공동체 (Franciscan Fraternity) Mickey Rourke 주연의 성 프란치스코는, 솔직히 얘기해서, 좀 실망스럽습니다. 주인공이 제가 가지고 있는 프란치스코의 이미지와 많이 다르고 연기력도 좀 떨어... 4 김 레오나르도 2009.11.20 12746
347 프란치스코 영화를 보고 나서(II)-복음적 이상에 대한 프란치스코의 확신과 회칙 Michelle Soavi의 성 프란치스코 영화 2부에서 프란치스코는 글라라를 받아들이고 아버지에게 &#51922;기는 글라라를 피신시키려 형제들과 함께 바오로 수녀원으... 12 김 레오나르도 2009.11.13 12341
346 성 프란치스코 영화를 보고 나서(I)-프란치스코와 회개 저는 이 영화를 보면서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회개란 새로운 눈으로 보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이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 어린 프란치스코가 거꾸로 보면서 ... 6 김 레오나르도 2009.11.06 7092
345 가톨릭 교회에 들어오는 성공회 신자들의 성직 자치단에 관한 교황청 신앙교리성 공지 교황청 신앙교리성에서는 성공회 성직자들과 신자들이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성공회의 전례와 영성적 요소를 유지하면서 가톨릭 교회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길을 ... 대화일치영성센터 2009.11.04 8637
344 2009년 가을 영성학교 개강 + 찬미예수님 서울대교구 지속적인 성체조배회에서 2009년 가을학기 영성학교를 개최합니다. 주님의 말씀 성찬에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성체조배회 2009.10.17 6904
Board Pagination ‹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