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750 추천 수 4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재속프란치스코 회원들에게 보내는 희망의 편지

 

주님의 평화가 온 누리에

 

새해를 맞이하여 주님 안에서 인사드립니다.

주님께서 여러분 안에서 여러분을 통하여 여러분과 함께 평화를 주시기를 빕니다.

 

온 세상이 코로나의 전염병 앞에서 불안과 공포와 체념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너와 나의 왕래는 끊겨 스마트 폰에 의지하고 있고

집 안에서 갇혀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언제 끝날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미궁에 빠져 있습니다.

월례회와 평의회 구역모임, 선거총회도 하지 못한 채 새해를 맞이하였습니다.

 

주님의 성탄과 공현의 신비 안에서 예수께서 공생활의 첫 발걸음을 시작하시면서

회개하여라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라고 선포하십니다.

우리의 영적인 삶은 코로나의 전염병 앞에서도 어떠한 외적인 어려움 앞에서도

예수께서 걸어가신 그 길을 중단 없이 가야 하기에

우리에게 희망을 일깨우는 소식을 나누고 싶습니다.

 

그분은 우리의 연약함에 공감할 수 있도록 우리와 같은 처지에서 동등함을 넘어

우리의 발을 씻어주시는 자리에까지 자신을 낮추시는 관계의 혁명을 보이셨습니다.

우리는 하느님과 나 사이에, 너와 나 사이에, 피조물과 나 사이에,

관계의 회복을 위한 자신의 경험과 친밀해지고 또한 그 경험으로부터 배우며

자기중심적이고 우월감에 사로잡혀 있는 거기에서조차 자신을 낮추어

동등해져야 사랑하기 쉽다는 사실을 발견하도록 일깨워주십니다.

 

우리는 저마다 채워지지 못한 욕구를 지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억압된 상처와 억압된 분노를 지니고 있습니다.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고, 칭찬받고 싶고, 존중받고 싶어 합니다.

이렇게 채우지 못한 욕구를 채우느라 자신을 높이기 위하여

통제하고, 과대 포장하고, 거짓말하고, 합리화하고, 숨기고, 자랑하고 증명하려 합니다.

생명의 에너지를 그렇게 소비하는 거기에는 희망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사람이 되신 예수님, 사람이 되신 그리스도를 만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수께서는 우리가 당신과 같은 삶을 살도록

신비에 대한 본보기요 거울로 현존하십니다.

우리는 예수께서 가신 그 길을 따라가고 그분처럼 변화의 삶을 따라가기보다

예배(바치는 것)와 도덕적 성취(지키는 것)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신앙이라는 이름으로 하는 행위들, 복을 받기 위해 바치는 기도와 돈과 희생들,

그것도 많이 바치면 많이 받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우리 모두 상처받은 사람들입니다.

사랑이 구원하는 고난이 될 때, 관계 속에서 치유와 변화를 경험합니다.

왜냐하면 사랑에 따르는 고난이 자신을 보호하려고 쳐 놓은 그물,

가식으로 꾸미는 것들에서 우리를 벗어나게 해줄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며

우리를 다시 하느님께 돌아서게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사랑의 과정에는 죽음이 있고 이 죽음은 언제나 부활로 이어져 있습니다.

우리를 하느님께 돌아서게 만드는 방식에는 사랑에 따르는 고난이 있으며

사랑에 따르는 고난이 있는 곳에 부활을 경험하는 일정한 패턴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생애는 신적인 잉태로부터 시작하여 어른이 되기까지

사랑하는 일과 문제들로 가득 찬 일상의 관계 안에서

우리가 아버지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아버지께서 우리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바꾸도록 이끌어 주시며

변모와 깨달음, 용서하는 사랑, 벗을 위하여 내어놓는 생명, 죽음보다 강한 사랑으로

수난과 죽음의 순간들을 거쳐 부활과 승천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따라야 할 모범과 신비에 대한 본보기가 되셨습니다.

 

예수께서 우리에게 선포하신 소식은 기쁨과 자유를 주는 소식이었습니다.

당신이 선포하신 회개는 당신이 먼저 실천하셨습니다.

그분께서는 회개를 말씀하시자마자 해방과 치유의 일을 하셨습니다.

어려움 중에 있는 이들에게 먼저 다가가서 자비를 행하셨습니다.

 

사부 성프란치스코 께서는

모든 피조물과 공유하는 하느님의 자비와 돌보심을 알아보았습니다.

하나의 근원에서 나온 것들이기에

삼라만상 안에서 피조물 들을 형제와 자매로 불렀던 최초의 그리스도인이었습니다.

피조물과 관계를 맺는 하느님의 방식에 따라 사는 것이

우리의 삶으로 드러나기를 원하셨습니다.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하심이 우리의 일상에서 나를 통하여

행동하는 자비로 육화되도록 초대되었다는 사실을 일깨워주셨습니다.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가 우리가 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가가서 자비를 행하는 일, 상처와 대면하고 만지는 일입니다.

하느님의 자비가 나를 통하여 타인의 상처를 어루만질 때

자비와 이해 속으로 들어가고 치유를 동반한 변화가 일어납니다.


동등해지기 위하여 낮추고 내려가는 겸손한 사랑, 

하느님께서 관계를 맺는 이러한 방식을 받아들일 때 공감이 나오고

공감은 자신 안에서 마음의 공간을 넓혀 너를 받아들일 여백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변화는 너와 나의 관계를 변화시킵니다.

여기에 희망이 있습니다.

이 희망은 기쁨에 차 있습니다.

 

커다란 희망을 품고 여러분들에게 다가가

겸손하게 땅에 엎드려 새해의 인사를 올립니다.

 

2021, 1,4.

이기남 마르첼리노 마리아 형제 O.F.M.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3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사람들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사람들   나는 볼 수 없는 하느님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표지를 성사라고 배웠고, 볼 수 없는 하느님이 볼 수 있는 하... update 이마르첼리노M 2024.06.18 388
1502 자연은 진화하는 몸으로 죽으면서 내어주고 내어주면서 죽어 갑니다. 자연은 진화하는 몸으로 죽으면서 내어주고 내어주면서 죽어 갑니다.   자연 생태계의 모든 피조물은 개별적으로 돌보시는 하느님의 손길에 의해 움직입니다. 숲... 이마르첼리노M 2024.06.15 269
1501 형제적 동등성이 있는 곳에 공존과 평화가 있습니다. 형제적 동등성이 있는 곳에 공존과 평화가 있습니다.   새로운 아침마다 무상의 선물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화려하고 다양한 색깔로 날마다 새로운 모습... 이마르첼리노M 2024.06.12 375
1500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당신의 삶에서 경탄함의 문으로 들어갈 때, 당신이 일상사의 빛을 경험하게 하는 단순한 방식들은 무엇인가? 다른 말로 하면, 당신의... 김상욱요셉 2024.06.12 21
1499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실재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실재   우리는 언제나 자신과 자신이 하는 일에만 관심을 두어 주변에 있는 실제 사실을 보지 못하고 살아갈 때가 많습니다. 무거운... 이마르첼리노M 2024.06.09 243
1498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하느님은 인간이 만든 틀 속에 계시지 않는다. 틀에 묶여있는 사람과 틀을 벗어난 사람의 차이는 자유의... 이마르첼리노M 2024.06.03 203
1497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이 땅에 사람이 되시어 우리 눈에 볼 수 있는 존재... 이마르첼리노M 2024.05.31 54
1496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내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존재하고 있고 어떤 희망을 두고 살아가고 있는가를 회상하는 삶은 회상을 통하여... 이마르첼리노M 2024.05.29 60
1495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아이스크림 하나를 손에 들면 그 이상 바라 것이 없는 듯, 모든 복잡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완전히 잊... 이마르첼리노M 2024.05.26 79
1494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진실로 포장된 가면을 벗으면 웃을 수 있습니다. 기억 속의 신비로운 화환처럼, ... 이마르첼리노M 2024.05.25 127
1493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프란치스칸 가난은 자기를 열어드리고 내어드려 하느님께서 말씀을 잉태할 모태가 되게 해... 이마르첼리노M 2024.05.24 114
1492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32
1491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음 생활은 따르고 사랑하고 용서하는 자비의 길)   세례성사로 시작되는 그... 이마르첼리노M 2024.05.21 105
1490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복잡한 세상에서 하느님을 찾는 프란치스칸들은 하느님과의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 세상과의 관계에서 영적인 길을... 이마르첼리노M 2024.05.17 91
1489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성프란치스코에 대한 글에서 그는 어느 날, 밤을 새워가며 이렇게 기도하였다고... 이마르첼리노M 2024.05.11 21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