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0.10.09 09:08

거울을 보고 있느냐?

조회 수 3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거울을 보고 있느냐?

 

관계적 사랑을 배우는 믿음의 학교에서 오늘도 공부를 시작하였다.

 

성공하기 위해서 사는가? 사랑하기 위해서 사는가?

이기기 위해 사는가? 협력하기 위해서 사는가?

소유하기 위해서 사는가? 공존하기 위해서 사는가?

죄를 없애기 위해 사는가? 예수를 따르기 위해 사는가?

 

존재의 성찰을 위한 질문들은 도덕적 성취를 위한 것이 아니라

관계를 배우는 학교인 삼위일체의 위격적 사랑에서 나오는 생명의 에너지가

창조적 관계를 만들어 희망적인 방식으로 관계를 이어가게 하기 위함이다.

 

성공과 승리, 소유와 죄 없는 나를 만들기 위한 틀,

사람을 갈라놓는 감옥이 된 이러한 틀로는

하느님 나라를 알 수도 없고 느낄 수도 없으며 누릴 수도 없다.

그리스도 예수를 따르는 삶은 사랑하고 협력하면서 공존하는 삶이지

통제를 위한 배제라는 관계의 단절로 끝나는 삶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느님 앞에서는 아무도 율법으로 의롭게 되지 못한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의로운 이는 믿음으로 살 것이다.” 하였기 때문입니다. (갈라 3,11)

 

사랑하는 일과 믿는 일에는 분별이 요구된다.

율법과 예배는 자신을 높이는 수단이 되었다.

도덕적 나침판으로 타인의 자유를 억압하거나 금 밖으로 몰아낸다.

죄가 없으면 하느님 나라를 차지할 것처럼,

도덕적 행위가 믿음인 것처럼 생각하고

조금이라도 다른 사람보다 잘 지키고, 더 많이 바치면

자신을 높여 통제의 칼로 상처를 내고 갈등을 만들어

마침내 관계의 단절로 끝나는 경우를 너무나 자주 보았다.

 

사랑과 믿음은 깨어남에 관한 것이다.

깨어난 사람은 자발적이며 확산하는 선이신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에너지를 받기 때문에

자신의 통제를 멈추고 하느님의 통제를 받아들인다.

자신의 허다한 죄와 허물을 감추지 않고 드러내며

나약함과 연약함에도 포기하지 않고 가난하고 겸손하게 길이 되신 분을 따라나선다.

 

하느님과 연결된 거울, 머리와 가슴이 연결된 거울을 보는 사람은 복이 있다.

자신을 비춰보는 거울을 필요로 하는 내면의 욕구와

우리의 사랑이 초점을 맞출 무엇인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사랑이 흘러가도록 돕는 그들 때문에 선이 확산되고

삼위일체 관계적 사랑에서 흘러나오는 사랑에 대한 응답은

믿음 안에서 자비에 기반을 둔 신뢰적 관계를 만들고

감사와 찬미로 드러나게 된다.

그러나 충족되지 않은 욕구들은 사랑할 대상을 찾지 못하면 증오할 대상을 찾는다.

누군가를 미워하면 관계의 단절이 오고 관계의 단절은 하느님의 사랑을 막는다.

그것이 죄다.

 

믿음이 사랑과 자비와 선이라는 열매를 맺지 못한다면 믿음이 아니다.

관계적 사랑으로 안내하는 믿음 만이 우리를 살린다.

하느님을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대상으로 만드는 사람은 웃을 수가 없다.

믿음은 기분 좋은 관계 안에서 활짝 웃는 꽃으로 피어나기 때문이다.

사랑은 언제나 나로 하여금 그 일을 하게 만든다.

 

거울을 보고 있느냐?

거울을 보면 거울 속에 비친 내가 보인다.

믿음의 거울, 사랑과 자비의 거울, 십자가의 거울, 온갖 선과 아름다움의 거울,

자발적이고 완전히 이타적이며 순수한 자기증여의 거울

삼위일체 위격적 관계가 비추는 거울 속에서 너를 찾아라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2 지베드로 신부님의 연락처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함양본당에 다니고 있는 이스텔라입니다. 엊그제 신자분과 말씀중에 프란치스코회 소속 신부님의 연락처를 알아봐달라는 부탁을 받고 오늘 사진... 2 이스텔라 2012.03.21 9616
1231 지리산둘레길 6코스에 성심원 지나갑니다... http://blog.daum.net/sungsim1/37911월2일 현재의 성심원 가을풍경입니다. http://blog.daum.net/sungsim1/379 file 성심원소식지기 2010.11.03 10219
1230 지나치지 마시고 읽어주세요.. + 찬미예수님 안녕하세요 애타는 심정으로 글을 올립니다.. 지금 제 아버지가 건강이 매우 안좋습니다.. B형간염이 오랫동안 있었고, 간경화로 진행되었고..그러... 1 안수경 루시아 2008.10.11 5044
1229 지금이 미래다. 지금이 미래다. “장사란 이익을 남기기보다 사람을 남기기 위한 것이다 사람이야말로 장사로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이윤이며 최대의 자산이다.” 라는 조선 후기의 ... 이마르첼리노M 2014.01.25 4364
1228 지금을 어떻게 살까? 지금을 어떻게 살까?   남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갈망에 깨어있지 못할 때 선함을 가장한 선으로 자신을 증명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과 하느님... 이마르첼리노M 2020.02.05 368
1227 지금부터 시작하는 미래 지금부터 시작하는 미래   악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택의 순간마다 선을 선택하는 일이며 힘을 사용하려는 유혹에 힘을 포기하는 선택이다. 예수께서 마지... 이마르첼리노M 2019.07.31 481
1226 지금까지가아니라지금부터 때때로 자신의 과거 때문에 자신의 현재까지 미워하는 사람을 보게 됩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되돌릴 수 없는 이미 흘러간 시간을 가장 아쉬워하고 연연해하는 ... 소야 2011.07.25 17938
1225 지금 행복한 사람은 미래에도 행복하다. 지금 행복한 사람은 미래에도 행복하다.   착하고 성실한 신자들 가운데는 내세를 위한 업적 쌓기에 바쁘게 사는 사람이 많다. 꽃을 꽃 자체로 보지 못하... 이마르첼리노M 2020.02.07 417
1224 지금 우리 시대를 성찰하는데 도움되는 무스타파 달렙의 글 아프리카 오지의 나라,  챠드의 아름다운 문인 무스타파 달렙의 글이랍니다.  아무것도 아닌  '그 하찮은 것'에 의해 흔들리는인류.  그리고 무너지는 사회.. 코... 1 김레오나르도 2020.04.03 730
1223 지금 보는 것을 보는 눈이 있다면 지금 보는 것을 보는 눈이 있다면   국화꽃 한 송이 나이 든 억새들의 머리카락 땅에 펼친 도화지에 하늘나라를 그리시는 분께서 오늘도 붓을 잡으셨다. ... 이마르첼리노M 2020.10.14 372
1222 지각과 인식의 변화 (베드로의 고백) 지각과 인식의 변화   베드로의 고백 예수님을 따르기 위한 사도 베드로의 신앙고백은 명료한 지각과 인식으로 시작되었다. 하느님에 대한 지각과 인... 이마르첼리노M 2022.02.10 445
1221 중세기행(4) 중세 프란치스칸들의 혁명적 예언성  베르골리오 추기경이 예수회원으로  처음 교황에 선출되면서 엉뚱하게도 프란치스코 라는 이름을 택하여  생각하는 사람들을 좀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역사... file 이종한요한 2016.08.09 1942
1220 중세 기행(1) : 독일 푸거(Fugger) 집안 중세 기행 : 독일 푸거(Fugger) 집안   요즘 중세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의 중세 서양사 교육은 보수 성향의 개신교 관점의 역사... file 이종한요한 2014.10.24 2810
1219 중세 기행 (3) : 아벨라르와 엘로이즈 (Abelard and Heloise]의 연애 사건 하느님 중심의 사고방식에 젖어있던 중세에 인간의 가치성은 현대에 비해 미미했다. 교회의 가르침이 사회 모든 분야를 다 지배했고, 종교에서의 인간은 하느님의... file 이종한요한 2015.01.26 11931
1218 중세 기행 (2) - 성 요한 기사 수도회 (The Order of the Hospital of St John of Jerusalem ) 기사는 중세기 서양에 있었던 특별한 신분으로 이 단어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슈발리에(chevalier)라는 말은 중세 봉건시대의 기사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file 이종한요한 2014.12.15 2212
Board Pagination ‹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