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자유가 있는 곳에 사랑이 있다.

 

다른 사람을 섬기는 일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나서 고를 수 있는 선택사항이 아니다.

영적 은사도 그것을 남들과 나누고 베풀기 전에는

자기가 그것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지 못할 때가 많다.

물질은 쓰면 쓸수록 줄어들지만 영적 은사는

그것을 씀으로써 오히려 확장되고 깊어진다.

우리가 받은 예수님의 말씀을 자신한테 적용하려면 그것을 남들에게 전해야 한다.

이것은 신앙적 교리보다 생활방식의 문제이며 그리스도교가 당면한 절박한 문제다.

기쁨을 발생시키는 삶에서 나온 이야기가 아니라면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받은 은총의 선물은 반드시 아버지께 돌아가야 한다.

아니면 두 번 다시 오지 않는다.

안으로 받아들이고 밖으로 돌려주는 순환이다.

자신이 받아들인 삶의 진리들은 열린 가슴과 부축의 손길로

아버지의 자비와 선하심을 관계를 통하여 선포되는 복음이기 때문이다.

 

하느님은 절대 자유를 지니신 분이시기에

인간들이 무슨 짓을 해도 거기에 전혀 구애되시는 분이 아니시다.

그분은 악이 제 길을 가도록 그냥 내버려 두신다.

우리를 철저하게 자유로운 존재로 살아가도록 관여하시지 않는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해방시켜주셔서 우리는 자유의 몸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마음을 굳게 먹고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 (갈라5,1)

 

하느님에 대한 그릇된 가르침과 두려움, 의심으로부터 하느님을 자유롭게 해드리고

자기중심적인 이기주의와 스스로 희생자라는 피해의식과 어린 시절에 받은 상처에서

나를 자유롭게 하는 것은 평생 해야 할 힘든 작업이다.

 

하느님의 자유와 나의 자유가 동시에 성취될 때

두 자유는 서로를 끌어들이는 거대한 자석처럼 하나가 되어 감동과 전율을 느끼게 한다.

이것이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 하느님의 힘이며 거룩한 사랑의 행위다.

그것은 육화로 드러나는 선이며 나에게는 황홀한 기쁨이다.

하느님의 자유와 나의 자유가 만나 누리는 하느님 나라이며

삼위일체 하느님이 차려놓은 잔치에 참여하는 기쁨이다.

이것이 진정한 보물이다.

이 보물을 발견한 사람은 모든 것은 팔아 그것을 산다.”(마태 13,44)

 

죽음의 육체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은 더 큰 사랑에 빠지는 일이다.

자신의 인생에 대한 온갖 부정적인 감정과 견해를 모두 흡수해 버리는

더 깊은 하나 됨은 전에 누려보지 못한 기쁨이다.

이 기쁨 속에서 영적인 눈이 열리고 깨어나기 시작한다.

 

사랑에 빠지는 법을 배우는 길은 사랑에 빠져봐야 한다. 다른 길은 없다.

그리고 뼈아픈 실연을 겪어봐야 비로소 사랑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사랑은 너무나 두렵고, 크고 황홀해서 머리로는 상상할 수 없으며

만들 수도, 찾아낼 수도 없기 때문이다.

사랑에 빠지고 사랑을 놓아버리는 과정이 없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소중한 것을 잃는 과정이 지난 뒤에야 비로소 그것이 은총이었음을 알게 될 뿐이다.

 

중독은 깊이 좌절된 욕망이다.

하느님으로부터, 인간관계로부터 현실적으로

내적인 친밀함을 경험하지 못해서 생겨나는 것이 중독이다.

사랑과 존중심, 기쁨, 친밀한 인간관계를 잃으면

술을 마시고 도박과 섹스, 마약, 과음 과식을 하게 된다.

그렇게 아무짝에도 소용없는 무엇을 손에 넣으려고

헛된 노력을 되풀이하는 사이에 자신도 모르게 중독되는 것이다.

여기에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존재론적 중독인 자아도취의 중독은

하느님과 이웃과의 단절이라는 결과를 만든다.

 

욕망과 그로 인한 깊은 좌절감에서 오는 중독,

그런데 그것이 역설적이게도 영적 여정의 출발선이 된다.

바닥이라는 한계를 경험하면 자신에게 의존했던 모든 것을 놓아버리고

하느님께 눈을 돌리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자유와 인간의 자유가 만나 선을 이루는 육화의 여정에 초대된 나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법” (야고보 2,12)을 예수님으로부터 배우고

인간이 만든 틀에 갇혀 계시는 하느님을 자유롭게 해드리려는 마음으로 자유를 찾는 사람에게

하느님의 자유가 해방의 소식을 선포하게 될 것이라는 희망에 차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9 거룩함의 성찰 거룩함의 성찰   자신의 업적과 공로가 아니고 하느님의 자비에 있다.   많이 바치는 데 있지 않고 많이 받고 있다는 깨달음에 있다.   통제에 ... 이마르첼리노M 2020.01.26 354
1008 믿음의 뿌리를 성찰하기 믿음의 뿌리를 성찰하기   믿음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것은 세례를 통하여 자신이 얼마나 큰 축복을 받았는지 얼마나 큰 자비의 혼인 잔치에 초대되었... 이마르첼리노M 2020.01.25 334
1007 저녁 어둠이 깔리고 저녁이 되어서야 밤하늘의 달과별들은 빛을내고 도시의 야경은 빛을내기 시작한다. 어둠이 세상을 덮었을때 오히려 더  빛을 내기 시작한다.  빛이... 일어나는불꽃 2020.01.20 826
1006 벌거벗은 진실 안에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 벌거벗은 진실 안에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   우리의 믿음은 우리 안에 주어진 하느님의 선물을 발견하는 기쁨과 깨달음에서 성장한다.   내면의 깊은 ... 이마르첼리노M 2020.01.16 357
1005 정체성 정체성   현대의 문명사회는 가공할 만큼 발전을 해왔고 몸서리 칠만큼 변화를 경험하고 있지만 우리의 정체성은 변덕 위에서 춤추고 있다. 이 깨어지기 ... 이마르첼리노M 2020.01.15 322
1004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나의 업적과 공로가 아니라 주님의 선하심과 자비에서 옵니다.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내가 모르고 살아온 하... 이마르첼리노M 2020.01.14 312
1003 보험 보험   불확실한 현실이 주는 두려움에 직면하면 보험을 든다. 확실해 보이고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보험이 하느님 나라의 대체 수단이 되... 이마르첼리노M 2020.01.13 409
1002 서로 다른 믿음 서로 다른 믿음   1.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졌다는” (로마5,5) 사실을 깨닫지 못하면 누군가를 사랑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통제의 대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20.01.12 312
1001 단절과 연결의 신비 단절과 연결의 신비   우리의 삶은 여러 관계 속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원칙들을 지키려고 애쓰다가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내면에서 문제를 찾... 이마르첼리노M 2020.01.08 355
1000 사랑의 힘 사랑의 힘   관계의 단절을 가져온 어둠 그 감옥에 있을 때 사랑을 거부하고 사랑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경험한다.   나는 너를 나에게 오지 못하게 ... 이마르첼리노M 2020.01.05 385
999 탓   탓의 어리석음은 자신 안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투사시킴으로 관계를 최악으로 만든다.   남을 탓하는 사람은 자신 안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0.01.04 380
998 새날의 빛으로 새날의 빛으로   지우개로 지우고 새하얀 도화지를 받았다.   점 하나 찍고 첫발로 발자국을 내었다.   만물과 더불어 유려한 가락으로 창조... 이마르첼리노M 2020.01.01 547
997 연약함과 무력감을 힘으로 만들기 연약함과 무력감을 힘으로 만들기   어둠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어둠을 받아들이기보다 이를 감추려고 다른 사람을 탓한다. 그러므로 어둠과 사랑에 빠지... 이마르첼리노M 2019.12.31 297
996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만일 우리가 하느님과의 친교를 나눈다고 말하면서 어둠 속에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고 진리를 실천하... 이마르첼리노M 2019.12.28 361
995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하느님에게서 배우는 학교 전부를 내어놓는 가난 한없이 낮추시는 겸손 환대와 소통 자비로운 용서 죽음으로 살리는 법... 이마르첼리노M 2019.12.27 330
Board Pagination ‹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