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회개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하느님의 주요 관심사는 사랑이다.

믿느냐? 가 아니라 사랑하느냐? 이고

바치느냐? 가 아니고 사랑하느냐? 이며

지키느냐? 가 아니라 사랑하느냐? 이다.

 

나에게는 지키지 못한 죄보다 더 큰 죄는 사랑하지 못한 죄였다.

믿고, 지키고, 바치는 것에만 매달려 사랑하지 못한 죄이다.

출발선에선 그것들이 중요했다.

그러나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것은 사랑이었다.

사랑하는 사람은 믿고, 지키고, 바치는 일에도 능동적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회개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보잘것없는 이에게 해주는 사랑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사랑하라는 것이었다.

 

신앙의 깊은 의미를 찾아낸 사람들은

사랑하기 위하여 깊은 아픔을 겪은 사람들이다.

내 눈을 뜨게 한 것도 사랑은 아플 수밖에 없다는 진리였고.

사랑과 아픔은 그리스도의 신비의 문을 여는 열쇠였다.

예수님의 십자가에서 드러난 사랑은

사랑이 죽음보다 강하다는 사실을 나에게 가르쳐주셨다.

 

죄와 그에 따르는 벌이라는 두려움에 바탕을 둔 삶에서는 사랑이 자랄 수 없었다.

사랑에 바탕을 두는 삶에서만이 그리스도의 신비를 깨닫게 해주었다.

벌이 두려워서 하는 것보다 누군가를 기쁘게 하려는 동기가

얼마나 큰 사랑인가를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사랑과 고통은 나의 스승이었다. 세상의 어느 선생님보다 훌륭한 선생님이었다.

머리로만 알던 것을 가슴으로 알게 하는 선생님,

고통을 피하려다 더 큰 고통을 겪게 된다는 사실과

사랑하는 과정에 따라오는 아픔은 고통으로 남지 않는다는 사실을 가르쳐준 선생님이었다.

 

사랑은 통제를 멈추게 하는데 이 통제를 포기하는 것이 고통이라는 것을 일깨워 준다.

사랑은 기꺼이 모든 위험을 감수하고 아무것도 감추지 않는다.

사랑은 누군가로부터 받아들여진 느낌이고 누군가와 하나 되었다는 황홀한 느낌이다.

내가 사랑한다.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나는 너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라고 듣는 것이다.

사랑은 날마다 수없이 내 심사를 뒤집어 놓는 아픔을 견디는 데서 성장한다.

그러한 고통이 없다면 나는 자아도취와 우월감을 통제할 방법이 없었을 것이다.

 

우리는 너무나 많은 시간에 고통을 없애 달라고 기도했다.

그러나 정작 우리가 해야 할 기도는 큰 시련이 닥칠 때

저를 붙드시어 스스로 비참해지거나 누구를 원망하지 않게 해주십시오라고 기도하고

앙갚음하려는 악에서 구해 달라는 기도다.

 

내 안의 어둠과 싸우기 위하여 갈등과 허물에 대해 직면하고,

거절과 배척과 무시, 그리고 버림받는 일을 견디면서

내려놓고 내려가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

누군가의 핍박을 감수하는 일과 자신의 한계를 느낄 때 하느님께 의존하는 것이

얼마나 영혼을 꽃피게 하는 일인지를 십자가의 예수님으로부터 배웠다.

 

아버지 하실 수만 있다면 이 잔을 제게서 치워주십시오

그러나 제 뜻대로 하지 마시고 당신의 뜻대로 하십시오마태 26,39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7 미루나무의 꿈 미루나무의 꿈    눈가에 기쁨이 피어나고  열려진 가슴에 더운피가 흐르고  얼굴에 미소가 담기고  두 손에 누군가를 살리려는 선물이 담기고..  ... 이마르첼리노M 2014.11.14 1661
566 물방울의 행복 마음이 겸손하고  깨끗한 이들은 행복하다. 하느님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작은물방울과도  같기때문이다. 겉으로보기에는  아무것도 아닐지라... 일어나는불꽃 2014.08.17 1539
565 문이며 목자이시며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의 부재 문이며 목자이시며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의 부재,   아버지를 잃어버린 사람들, 우리의 믿음에서 하느님이 아버지로서의 하느님보다 위협적이고 벌을 주시는 하느... 이마르첼리노M 2023.04.30 205
564 문의합니다. 라는 성서강좌를 하신다고 들었습니다. 언제부터 시작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소나기 2006.03.28 6366
563 문의 찬미에수님 찬미성모님 저는 정 엠마누엘입니다. 그곳에 신부님이 계신줄 아는데 어떻게 신부님이 되시며 수사님도 사제가 갖추어야 할 교육을 받는지 알고 싶습... 1 정세근 2007.12.22 5289
562 문 사람의 문을 두드리시는 하느님 하느님의 문을 두드리는 사람 어느 편에 힘이 실리는 걸까 문이 열려있음을 아는 건 둘 다 사랑이다. 힘을 내려놓는 사랑 소... 이마르첼리노 2011.06.15 4209
561 묵상과 함께하는 십자가의 길 십자가의 길 ( 기도의 초대 ) 해설자   모든 크리스챤들은 자기중심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하느님 중심적인 삶으로 옮기는 “회개하는 형제자매들”입니다. ... 이마르첼리노M 2018.03.30 6407
560 무엇이 마음 바꾸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무엇이 마음 바꾸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스스로 바뀔 준비가 안 된 마음으로는 외부의 충격이나 내부의 충격이 있어도 아무런 반응을 끌어내지 못한... 이마르첼리노M 2020.02.26 381
559 무엇이 기쁜 소식인가? (기쁜 소식의 본질) 무엇이 기쁜소식인가? (기쁜 소식의 본질)   예수 그리스도를 닮고 따르는 것은 믿음의 핵심과 본질의 하나입니다. 거기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즉 죽음과 ... 이마르첼리노M 2023.05.01 339
558 무엇을 보고 있느냐? 무엇을 보고 있느냐?   우리는 저마다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경향이 있다. 관심사에 따라 보는 것의 우선순위가 결정되기 마련이다. 관심사가 클... 1 이마르첼리노M 2020.11.06 410
557 무엇에 죽어야 하는가? 무엇에 죽어야 하는가?   십자가에 달려 죽어야만 하는 사람은 나쁜 사람이 아니라 좋은 사람이라고 여기는 거짓된 나이다.   그것 없이는 도저히 살 수 ... 이마르첼리노M 2019.08.01 497
556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 해서라도…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 해서라도…   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은 인과 응보적 틀에 묶여 사는 나의 사고와 가치를 드러냅니다. 그런 시각으로... 이마르첼리노M 2023.11.11 294
555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진실로 포장된 가면을 벗으면 웃을 수 있습니다. 기억 속의 신비로운 화환처럼, ... 이마르첼리노M 2024.05.25 122
554 무상성 (하느님의 베푸심) 무상성 (하느님의 베푸심)   나는 인생 후반부에 들어서 비로소 내 신앙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수 그리스도의 삶 안에서 찾았다. 사람이 되신 예수로 말미암아 그... 1 이마르첼리노M 2022.06.13 547
553 무대책이 대책 무대책이 대책   프란치스칸 삶의 중심에는 하느님께 자신을 전적으로 내어드리는 가난과 아무것도 자신의 힘에 의지하지 않고 하느님의 손길에 맡겨드리는 겸손... 1 이마르첼리노M 2022.03.01 334
Board Pagination ‹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