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회개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하느님의 주요 관심사는 사랑이다.

믿느냐? 가 아니라 사랑하느냐? 이고

바치느냐? 가 아니고 사랑하느냐? 이며

지키느냐? 가 아니라 사랑하느냐? 이다.

 

나에게는 지키지 못한 죄보다 더 큰 죄는 사랑하지 못한 죄였다.

믿고, 지키고, 바치는 것에만 매달려 사랑하지 못한 죄이다.

출발선에선 그것들이 중요했다.

그러나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것은 사랑이었다.

사랑하는 사람은 믿고, 지키고, 바치는 일에도 능동적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회개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보잘것없는 이에게 해주는 사랑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사랑하라는 것이었다.

 

신앙의 깊은 의미를 찾아낸 사람들은

사랑하기 위하여 깊은 아픔을 겪은 사람들이다.

내 눈을 뜨게 한 것도 사랑은 아플 수밖에 없다는 진리였고.

사랑과 아픔은 그리스도의 신비의 문을 여는 열쇠였다.

예수님의 십자가에서 드러난 사랑은

사랑이 죽음보다 강하다는 사실을 나에게 가르쳐주셨다.

 

죄와 그에 따르는 벌이라는 두려움에 바탕을 둔 삶에서는 사랑이 자랄 수 없었다.

사랑에 바탕을 두는 삶에서만이 그리스도의 신비를 깨닫게 해주었다.

벌이 두려워서 하는 것보다 누군가를 기쁘게 하려는 동기가

얼마나 큰 사랑인가를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사랑과 고통은 나의 스승이었다. 세상의 어느 선생님보다 훌륭한 선생님이었다.

머리로만 알던 것을 가슴으로 알게 하는 선생님,

고통을 피하려다 더 큰 고통을 겪게 된다는 사실과

사랑하는 과정에 따라오는 아픔은 고통으로 남지 않는다는 사실을 가르쳐준 선생님이었다.

 

사랑은 통제를 멈추게 하는데 이 통제를 포기하는 것이 고통이라는 것을 일깨워 준다.

사랑은 기꺼이 모든 위험을 감수하고 아무것도 감추지 않는다.

사랑은 누군가로부터 받아들여진 느낌이고 누군가와 하나 되었다는 황홀한 느낌이다.

내가 사랑한다.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나는 너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라고 듣는 것이다.

사랑은 날마다 수없이 내 심사를 뒤집어 놓는 아픔을 견디는 데서 성장한다.

그러한 고통이 없다면 나는 자아도취와 우월감을 통제할 방법이 없었을 것이다.

 

우리는 너무나 많은 시간에 고통을 없애 달라고 기도했다.

그러나 정작 우리가 해야 할 기도는 큰 시련이 닥칠 때

저를 붙드시어 스스로 비참해지거나 누구를 원망하지 않게 해주십시오라고 기도하고

앙갚음하려는 악에서 구해 달라는 기도다.

 

내 안의 어둠과 싸우기 위하여 갈등과 허물에 대해 직면하고,

거절과 배척과 무시, 그리고 버림받는 일을 견디면서

내려놓고 내려가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

누군가의 핍박을 감수하는 일과 자신의 한계를 느낄 때 하느님께 의존하는 것이

얼마나 영혼을 꽃피게 하는 일인지를 십자가의 예수님으로부터 배웠다.

 

아버지 하실 수만 있다면 이 잔을 제게서 치워주십시오

그러나 제 뜻대로 하지 마시고 당신의 뜻대로 하십시오마태 26,39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8 피정에 관한 문의 피정에 관한 문의는 Q&A 게시판으로 이동하였습니다. 관리형제 2007.10.17 5851
1347 프롬과 프란치스코의 대화 프롬은 사람들의 삶의 자세를 두 가지로 구분한다. 하나는 소유 지향적인 자세이고 다른 하나는 존재 지향적인 자세이다. 소유 지향적인 자세는 온 세계를 자신... 김상욱요셉 2012.12.29 8638
1346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성탄의 의미 / 김찬선 신부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성탄의 의미 / 김찬선 신부 1 마중물 2008.01.12 6816
1345 프란치스코의 복음적 삶 프란치스칸들은 프란치스코 때부터 '복음적 삶'이라는 말을 사용하였고 지금도 자주 사용합니다. '복음적 삶'이 무엇을 뜻할까요? 이 말은 예수님의 행동을 그대... 김상욱요셉 2012.09.01 9366
1344 프란치스코의 꿈: 그의 집 안에 가득찬 무기들   프란치스코가 병환에서 회복한 후 다시 기사가 되기 위해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길을 떠난다. 그 길에서 그는 꿈을 꾸는데, 그의 집 안에 온갖 무기가 가득한 ... 김상욱요셉 2013.11.04 5074
1343 프란치스코와그의글2 ⑤ 나환자와 의 만남: 1205년 말 어느 날 프란치스코는 시골길을 가다 나환자를 만났다. 나환자는 프란치스코가 가장 혐오하던 이였다. 그는 나환자들이 있는 곳... 김상욱요셉 2015.08.27 1196
1342 프란치스코와 그의글5 3. 프란치스코의 생애 마지막 1) 라베르나 체험 프란치스코가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인 1224년, 프란치스코는 오를란도 백작으로부터 희사받은 라베르나 산에 6... 김상욱요셉 2015.09.15 1298
1341 프란치스코와 그의글4 4) 클라라회의 창립: 1202년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와 형제들이 함께 살며 설교하는 모습을 보았다.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와 형제들의 삶의 모습을 보고 프란치스... 김상욱요셉 2015.09.06 1462
1340 프란치스코와 그의글3 2. 프란치스코와 형제회 1) 복음에 영감을 얻은 삶: 1208년 프란치스코는 성 다미아노 성당을 보수하고 성 베드로 성당을 그리고 이어서 포르치운쿨라 성 마... 김상욱요셉 2015.09.02 1293
1339 프란치스코와 그의 글1 프란치스칸 양성자 세미나를 준비하면서 프란치스코의 생애와 그의 글을 한번 생각해보았습니다. 프란치스코의 글은 그의 삶을 배경으로 생겨났습니다. 그것을 ... 1 김상욱요셉 2015.08.25 1416
1338 프란치스코에게 성령 프란치스코에게 성령은 그리스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 그는 성령에 대해 말할 때, &quot;성부의 영&quot;, &quot;성령&quot;이라는 용어 대신 &quot;주님의 영&quot;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이것... 김상욱요셉 2012.09.16 9122
1337 프란치스코가 성 다미아노 성당에 머묾 프란치스코는 허물어져 가는 성당에서 주님으로부터 '가서 나의 집을 고치라'는 음성을 듣게 된다. 프란치스코는 곧장 아버지 가게에서 옷감을 꺼내 폴리뇨에서 ... 김상욱요셉 2013.11.06 5350
1336 프란치스코 오상축일에 세월호 희생자들을 기억하며   9월 17일 프란치스코 오상축일에 교황님께서 선포한 봉헌생활의 해를 맞아 수도원을 개방하여 신자분들과 함께 기도하고 미사를 하였습니다. 미사 시간에 세월... 김상욱요셉 2015.09.23 1336
1335 프란치스코 영화를 보고 나서(IV)-프란치스코의 단순한 형제들 회칙의 해석 없는 실천-프란치스코의 단순한 후예들 저는 Roberto Rosselini의 “The Flowers of St. Francis(성 프란치스코의 잔 꽃송이들)”를 보고 “회칙의 해석... 4 김 레오나르도 2009.11.28 6662
1334 프란치스코 영화를 보고 나서(III)-프란치스칸 형제 공동체 (Franciscan Fraternity) Mickey Rourke 주연의 성 프란치스코는, 솔직히 얘기해서, 좀 실망스럽습니다. 주인공이 제가 가지고 있는 프란치스코의 이미지와 많이 다르고 연기력도 좀 떨어... 4 김 레오나르도 2009.11.20 12746
Board Pagination ‹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