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말에서 떨어진 바오로처럼

 

깨달음으로 내면의 자유를 경험하면 깨어나기 시작한다.

깨어나는 순간 눈이 열리어 를 알게 되고 하느님을 느끼기 시작한다.

전에 보던 것들이 더는 보이지 않고 보지 못하던 것을 본다.

말에서 떨어진 바오로가 그랬다.

 

자기중심으로만 보던 것들을 하느님과 관련지어서 바라보게 되는

관점이 바뀌는 바라봄이 시작되는 순간, 내면의 붕괴가 일어난다.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의 시선 아래 발견된 나를 아는 순간,

자신의 눈으로만 보던 세상은 무너지고 만다.

잘한다고 한 일이 하느님을 거스르는 일이었음을 깨달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나라가 무너지면 창조의 본래 모습을 본다.

피조물 안에 담겨 있는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의 질서 안에서 창조주를 발견한다.

 

깨달음과 깨어남은 온전히 위로부터 오는 선물이다.

바오로는 외부로부터 번쩍이는 빛으로 눈멀게 되었고 내면의 빛으로 보게 되었다.

자기로 갇혀있는 돌무덤의 문을 열어주는 누군가가 있어야 밖으로 나올 수 있다.

 

말씀과 성사로부터 오는 빛,

자신을 동반하는 선물로서의 만남,

먼저 깨닫고 깨어있는 이들이 비추는 살아있는 빛,

그 빛이 나를 비출 때 옷을 벗는다.

지금까지 겹겹이 껴입었던 옷을 완전히 벗는 내면의 가난한 바닥,

눈멀었던 사람이 보게 되는 회심이 일어나는 위대한 순간,

말에서 떨어진 사건은 나의 삶이 된다.

 

새로운 앎,

관점을 바꾸는 새로운 인식,

나를 중심으로만 살았던 일상을 너를 중심으로 바꾼다.

숙제로 여기던 일들과 했다만을 중요하게 여기고

통제만을 일삼던 사람이 온 정성을 다 쏟기 시작한다.

일상에서 대충하던 일들을 최상급으로 하게 되는 변화를 회심이라고 말하고 싶다.

 

편견과 선입견과 판단의 틀을 가지고 통치하던 사람이

하느님의 자비에 통치를 맡기는 전환을 회심이라고 알게 되었다.

 

서로에게 현존하는 삶이 비추는 거울 속에서

과거에 숨거나 미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자신의 선함과 거룩함을 돋보이게 하려고 포장하지 않아도 되며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고 증명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명령하고 지시하던 사람이 협력을 구하고

마지못해서 하거나 귀찮아하던 일들을 기꺼이 자진해서 하며

대충하던 일들을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한다.


싫어하던 것들을 선택하는 자유와

만나고 싶지 않던 이들을 직접 대면하여 말을 건네고

미뤄두었던 잘못을 꺼내어 용서를 청한다.

 

죄가 없다고 죄를 만들어 고백성사를 보던 사람이

자기 같은 죄인은 없다고 탄식하며 눈물을 쏟고

그와 같은 죄인을 기다리고 돌보아 주셨던 하느님의 자비에 경탄한다.

 

원수로 여기던 사람을 사랑의 대상으로 삼아 그를 위해 환대와 소통의 상을 차려주고

왕좌에 있던 사람이 무수리의 자리에서 기쁨의 잔치를 준비한다.

 

과정의 진실 속에서 넘치는 기쁨으로 누리는 자유는

투명하고 맑은 미소로 하느님께 응답한다.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지금 여기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는 그렇게 일상을 바꾼다.

 

보는 것의 위대한 전환,

어떻게가 만든 위대한 회심의 역사는 그렇게 관계를 바꾼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7 듣기로 시작되는 하느님 나라 듣기로 시작되는 하느님 나라   “이것을 듣고 명심하여 실천하여라. (신명 6,3-4) 이스라엘은 들어라” “말씀을 듣고 깨닫는다”(마태 13,23)   “말씀... 이마르첼리노M 2021.03.07 490
1036 9월이 오는 길목에서 9월이 오는 길목에서   온전히 이 순간에 깊은 만족을 주는 낙원의 낙조   달빛이 흐르는 강가로 나아가 회상의 배를 띄운다.   응답하는 기쁨... 이마르첼리노M 2021.08.23 490
1035 말하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냐? 말하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냐?   주제넘은 앎은 지식으로 시작한다. 하느님은 지식의 대상이 아닐뿐더러 지식의 대상이 되는 것을 거부하신다.   우리가... 이마르첼리노M 2019.07.26 492
1034 변화된 사람이 바꾸는 세상 변화된 사람이 바꾸는 세상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은 언제나 과거 속에 머문다. 지배문화의 상벌체계 속에 안주하면서 하느님의 사랑을 우리의 수고를 통해... 1 이마르첼리노M 2019.08.18 492
1033 진실은 사람을 자유롭게 해주기 전에 먼저 사람을 힘들게 한다 진실은 사람을 자유롭게 해주기 전에 먼저 사람을 힘들게 한다.   우리는 서로에게 비극을 안겨주는 전문가들, 그로 인하여 걸림돌에 걸려 비틀거리다가 ... 2 이마르첼리노M 2019.08.28 492
1032 합리화의 성찰 합리화의 성찰   고통을 피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는 웃는 것이다. 나는 슬프게 살고 싶지 않다. 명랑하기를 원하고 삶을 즐기고 싶다.   ... 이마르첼리노M 2020.05.04 493
1031 틀을 바꿔라. 틀을 바꿔라.   회개하여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태오 4,17)   회개하라는 말을 고행하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보상과 처벌이라는 틀에 묶여 외... 이마르첼리노M. 2020.12.12 493
1030 따르기 위하여 버리는 나 따르기 위하여 버리는 나   “나를 따르려면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매일 자기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 (루가9,22)   예수께서는 내려가는 길을 가... 1 이마르첼리노M 2021.05.02 493
1029 수치심을 일깨우는 학교에서 수치심을 일깨우는 학교에서   수치는 겪어야 하는 일이다. 부끄러운 모습을 인정하는 것과 그 사실을 받아들이는 일은 자유와 해방을 위한 과정으로 반드... 이마르첼리노M 2019.09.06 495
1028 예루살렘 성 주간 수요일 : 주님채찍 기둥 경배 예루살렘 성 주간 수요일 :  주님채찍 기둥 경배 2020년 4월 8일   예루살렘 성 주간,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성지 보호구는 예수님께서 수... file 김정훈OFM 2020.04.09 495
1027 아브라함의 믿음 아브라함의 믿음   아브라함의 믿음 안에 숨겨진 진실은 무엇일까? 그의 마음을 사로잡은 하느님에 대한 무한한 신뢰는 자신의 자유를 온전히 내어드릴 만큼... 이마르첼리노M 2021.07.01 495
1026 신앙으로 둔갑하는 이념의 뿌리 신앙으로 둔갑하는 이념의 뿌리   인과응보가 만들어내는 이념들은 신앙의 영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념은 한쪽만을 강조하고 다른 쪽은 무시해버... 이마르첼리노M 2021.02.09 496
1025 자유를 배우는 학교 자유를 배우는 학교   하느님을 발견한 사람, 발견된 하느님을 만난 사람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사랑을 배운다. 아름다우시고 자비하시며 넓은 마음... 이마르첼리노M 2019.09.14 497
1024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하느님께서 우리를 이렇게 사랑하셨으니 우리도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1요한 4, 11)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에 ... 이마르첼리노M 2021.01.06 497
1023 새로 태어남의 신비 새로 태어남의 신비   “누구든지 새로 나지 않으면 아무도 하느님 나라를 볼 수 없다. (요한 3,3)   “옛 생활을 청산하고 정욕에 말려들어 썩어져 가... 이마르첼리노M 2020.07.07 498
Board Pagination ‹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