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9.10.25 11:52

내 믿음이 정착할 땅

조회 수 410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안에서 발견한 하느님

내 밖에서 발견한 하느님

나는 그 가짜 하느님을 버렸다.

내 상처와 불안이 만든 하느님은

내 믿음이 정착할 땅에 계시지 않았다.

회개와 변모를 피하려는 방법으로 싸우거나 도망치게 만든 것은

내가 하느님이라고 믿어 온 가짜 정체성이었다.

수치와 상처를 주는 이들을 십자가에 못박으려는 분노와

불안과 두려움을 몰아내려는 내면의 적들이 만든 하느님이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의로움으로 가득 차 있었을 때는

자만심 안에서 다른 사람들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마음으로 가득했기 때문에

물리쳐야 할 원수들은 내 밖에 있었다.

불의하고, 억압하는 자와 정치적으로 반대편에 있는 자들과 소위 나쁜 사람들이었다.

그들에게 저항하고, 싸우는 것이 하느님을 위한 일이며, 거룩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것은 내 안에 있는 불안과 두려움, 고통과 수치심을 감추려는 동기가 숨어있었다는 진실을 직면하게 되었다.

결국, 그것은 하느님을 위한 나의 일이었다.

나는 그렇게 의롭지도 순수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않았다.

악을 저지르는 자와 구분되는 의인이 아니기 때문이며

어느 한 부분은 악에 동조하거나 악에 가담하고 있는 나를 보았기 때문이다.

 

평화는 긴장에서 해방됨으로써 얻는 것이 아니라

긴장과 더불어, 긴장 가운데서 온다는 사실을 알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한쪽 편을 미워하고 거부하게 만드는 자기 우월성은

누군가를 교정해주고 통제할 대상을 찾게 했다.

왜냐하면, 그것이 나의 내면의 수치심을 없애주고 불안감을 덜어주었기 때문이었다.

 

예수님의 삶은 진실의 바닥에서 나온 것이기에 나의 거울이 되었으며

진짜 나를 알게 해 주었고 하느님의 관점에서 나를 바라보도록 해 주었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분과 성프란치스코를 통해 드러난 삶의 모범은

하느님께서 당신의 일을 하시도록 나를 내어주는 가난을 통해 아버지의 나라를

지금 여기에서 실현하도록 일깨워 주셨다.

육화의 신비는 나에게 그렇게 다가왔다.

 

나의 적은 바깥에 있지 않고 내부에 있음을 알게 되면서

나를 중심으로 구축하던 모든 에너지를 바꾸기 시작했다.

나는 성령의 빛 안에서 내 믿음이 정착할 땅을 일구기 시작했다.

아버지로부터 받은 은총의 선물과 에너지를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누군가를 살리는 일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관계된 이들 안에서 내어주고 쏟는 일이 십자가의 예수님으로부터 나에게 온 것이다.

상처 입은 의사는 이제 내가 살아야 할 모습이 되었다.

 

살리기 위해서 피 흘리는 현장은 내가 사는 여기다.

내 믿음이 정착할 땅은 죽음의 형장이 기다리는 삶의 현장이다.

수치를 드러내는 이들과 불안을 주는 외적인 적들의 한 가운데서

평화와 자유와 기쁨을 드러내는 일이 내가 해야 할 일이다.

주님의 영께서 그 일을 하도록 내 안에서 부추기신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꼬미 2019.10.26 08:54:49
    상처입은의사~~~
    마태오9장12절
    감사합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9 네가 행복할 때 나도 행복하다. (구원의 보편적 의미) 네가 행복할 때 나도 행복하다. (구원의 보편적 의미)   누구나 슬픔과 고난의 짐을 홀로 질 수 없기에 내 몫의 작은 십자가를 지는 것은 누군가에게 어떻... 이마르첼리노M 2021.03.14 594
328 나만 좋은 땅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나만 좋은 땅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우리의 믿음은 올바름보다 올바른 관계가 더 중요하다. 도덕적 성취와 계명을 지키는 것이 올바름의 길이라면 믿... 이마르첼리노M 2021.03.18 516
327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믿음은 물질적인 세계 속에 살면서 물질적인 세계관에 집착하지 않는 가난이다. 가난이 주는 자유를 누려본 사람은 덧셈보다... 이마르첼리노M 2021.03.22 472
326 말씀의 통치에 맡겨진 삶 말씀의 통치에 맡겨진 삶   “너희가 내 말 안에 머무르면 참으로 나의 제자가 된다. 그러면 너희가 진리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 이마르첼리노M 2021.03.26 489
325 들리느냐? 봄밤의 소리 들리느냐? 봄밤의 소리   아름다운 세상 눈물 나게 하는 이들아 탐욕과 거짓으로 공정을 헤치고 희생양을 만들어 죄를 뒤집어씌우는 이들아 밤새 헤칠 궁... 1 이마르첼리노M 2021.03.27 546
324 만찬의 신비 앞에서 만찬의 신비 앞에서   예수께서는 만찬에 앞서 새로운 계명을 주셨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사랑하라는 계명이다. 그분께서는 그 계명을 관계의 혁... 이마르첼리노M 2021.03.30 528
323 예수를 팔아넘긴 유다 예수를 팔아넘긴 유다   타인의 자유와 권리를 이용하여 자기의 뱃속을 챙기는 유다는 누구일까?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는 사람 자신을 ... 이마르첼리노M 2021.03.31 562
322 낮은 곳으로 흐르는 자비의 강 낮은 곳으로 흐르는 자비의 강   삼위일체 샘에서 흐르기 시작한 자비의 물줄기 창조하시는 말씀 하느님의 자비가 흘러든 땅 땅에 핀 하늘의 꽃 사람이 ... 이마르첼리노M 2021.04.01 498
321 성금요일의 묵상 성금요일의 묵상   십자가의 예수님께서 보여주신 사랑   용서하는 사랑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 이마르첼리노M 2021.04.02 576
320 부활의 증인 부활의 증인   부활은 삼위일체 하느님과의 연결된 상태다. 하느님을 통해서 모든 피조물과 삼라만상이 살아 움직인다. 나는 하느님 안에서는 죽음이 없다... 이마르첼리노M 2021.04.03 801
319 하동 악양에서 대자연 부활 찬미가 예수님 수난죽음 십자가신비 십자가 죽음으로 구원된우리 예수님 부활로써 얻게된생명 그생명 하느님과 함께한행복   악양의 라베르나 은둔소... 일어나는불꽃 2021.04.03 626
318 막달라 마리아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서 변화된 첫 여성사도) 막달라 마리아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서 변화된 첫 여성사도   “여러분이 십자가에 못 박은 예수를 주님과 메시아(그리스도)로 삼으셨습니다.”(사도 2,3... 이마르첼리노M 2021.04.06 387
317 동반과 부축의 여정-엠마오로 가는 제자들을 동반하신 것 같이 (공유하는 선) 동반과 부축의 여정.(공유하는 선)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을 동반하신 것 같이    하느님의 정의와 사랑은 처벌이나 보복을 통해서 그 목적을 달성하지 않... 이마르첼리노M 2021.04.08 382
316 꽃들의 사연을 들어보니 꽃들의 사연을 들어보니   연초록 바다에 핀 산벚꽃 라일락 향기를 하얀 수건에 싸서 너에게 보낸다.   초원에 앉아 눈을 떠 보니 철쭉들의 얼굴엔 ... 이마르첼리노M 2021.04.09 366
315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피는 4월이다.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이 있는 곳엔 벌들이 있다.   구름이 해를 가려도 안개가 해를 가려도 한겨울 ... 이마르첼리노M 2021.04.12 340
Board Pagination ‹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