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9.09.16 20:41

동반하는 파트너

조회 수 6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동반하는 파트너

 

창세기에 나타난 사람의 창조는 둘이면서도 둘이 아닌 하나 됨을 이야기한다.

참된 영성은 언제나 둘을 하나로 만들지만,

거짓 영성은 둘을 분리한 채로 놓아둔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게 되었다.

 

건강한 영성은 일치를 이룬다.

하느님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것은 너를 위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며

하느님과의 연결이라고 부르는 일치를 통해 드러나는 건, 소통과 공감이다.

소통과 공감이 사라진 곳에는 지옥이라는 단절이 있을 뿐이다.

 

젊은 시절 나는 농경문화 속에서 살았다. 그때는 남자들이 지배하는 문화였기 때문에

여자들은 억압당하는 처지에 놓여있었다.

모든 권력은 남자들이 독차지하고 여자들은 남자들의 지배하에 놓여

긴장과 갈등 속에서 살았다.

남자들은 상식과 윤리와 도덕적 결함들을 무시해도 되는

지배적인 문화 속에서 자랐기 때문에 그렇게 해도 당연하다고 여겼다.

 

반면에 여자들은 자신의 여성성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체념의 길을 걸어왔으며

체념을 운명으로 받아들인 결말은 참담한 비극이었다.

결국에는 양쪽 모두 건강한 온전함과 거룩함마저 잃어버리게 되었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만 강조할 뿐, 통합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통합의 실패는 둘 다 패배자로 만든다.

 

여자들은 억압과 체념의 문화 속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보상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욕구를 속이거나 위장하는 가운데

여성성을 가지고 남자들을 조종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권력을 잡으려 했다.

남성들은 여성들을 동등한 파트너로 생각하기보다

성적인 욕구 충족과 지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반하여 여성들은 남자들이 알지 못하는

자신들의 여성성으로부터 나오는 은밀한 방법으로 남자들을 조종하려 들었다.

남성들은 자신들의 욕구가 해결되지 않으면 이를 폭력으로 해결할 때가 많았다.

이러한 악순환이 서로를 패배자로 만든 역사이다.

 

복음을 처음으로 받아들인 사람들은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이었다.

가난한 이들로 상징되는 이들 중에는 과부와 창녀들이 있었다.

그들은 힘없는 이들로서 치유와 구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람들이었다.

 

자신들을 사로잡고 있는 억압된 분노와 상처, 환상과 죽음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는 복음은 희망의 소식이었으며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그 자유가 하느님 나라의 내용이었음을 깨닫게 해주었다.

 

부자들을 약탈하는 것이 가난한 사람에게 구원이 되는가?

강한 자들을 정복하는 것이 약한 자들에게 구원이 되는가?

억압당하는 자들이 억압하는 자들을 종으로 만든다고 해서 구원되는가?

남자들과 여자들의 역할이 뒤바뀐다 해서 그것을 구원이라고 할 수 있는가?

그것은 구원하는 폭력이다.

예수님의 복음은 구원이 지배에 있지 않고 동반하는 파트너에 있으며

권력을 휘두르는 데 있지 않고 권력을 공유하는 데서 나온다는 선포였다.

 

예수님의 새 계명은 구원하는 폭력이 아니라

구원하는 고난이라는 사실을 일깨우기 위하여 십자가에서 무력하게 죽으셔야 했다.

그것이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이 말하는 내용이다.

 

하느님은 부성과 모성을 자신 안에 지니신 분이시다.

구원은 선하신 하느님과의 일치와 연결에 달려있으며

참된 영성은 서로를 보완하는 통합으로 구체화 된다고 할 수 있다.

 

나는 자신 안에서 남성성과 여성성, 부성과 모성의 통합을 추구해 왔다.

이러한 통합은 전체 안에서 부분을 보기 때문에

관계성에 필요한 선이라면 아무리 작다 해도

그 하나에 전부를 쏟아놓게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남성과 여성,

동반하는 파트너,

서로를 보완하는 능력,

자유를 주는 자유로 자유를 구원한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4 어느 죄인이 드린 기도 어느 죄인이 드린 기도   주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가 당신을 불쌍히 여기고 있나이다.   어둠을 숨기느라 빛을 이용하다가 억압과 결핍을 들키... 이마르첼리노M 2020.04.02 431
1053 (영상) 성지 보호구 : 회상을 보전하고 구원의 역사를 새롭게 하기 위하여 평화 작은형제회 성지 보호구 홍보 영상 입니다. 성지 보호구 (The Cutody of the Holy Land) 김정훈OFM 2020.03.31 671
1052 가면을 쓴 천사 가면을 쓴 천사   개는 좋아해 주는 만큼 반응하기 때문에 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많다. 자신이 행한 선에 감사가 뒤따르지 않으면 통탄할 일이 벌어진다.... 이마르첼리노M 2020.03.31 527
1051 도마뱀 길가다 만난 도마뱀도마뱀은 꼬리가 잡히면자신의 꼬리를 자르고도망간다고 한다.그렇게 해서 자신의생명을 구하기위해자신의 소중한 신체의일부를 자르는 것처럼... 일어나는불꽃 2020.03.30 474
1050 벗꽃 금방핀 벗꽃은 작지만언젠가 만개할 것이기에결코 만만히 볼 수 없을것이며만개한 벗꽃은 언젠가 꽃잎이다 떨어질것이기에 또한 우쭐할필요가 없을 것이다꽃잎이 ... file 일어나는불꽃 2020.03.30 463
1049 나는 내가 좋다. 나는 내가 좋다.   나는 나에게서 나를 떼어내어 나를 본다. 어둠과 그늘을 보고 슬퍼하는 나를 보고 억압된 상처와 분노를 바라본다. 그리고 그러한 나... 이마르첼리노M 2020.03.28 458
1048 덫을 허용하는 자유 덫을 허용하는 자유   흠도 티도 없이 완전해야만 한다는 이상주의가 만든 덫 정의와 도덕적인 질서에 대한 갈망이 만든 덫 계명과 윤리적 순결이 만든 덫... 이마르첼리노M 2020.03.27 465
1047 야생화 작고 보잘것 없는 야생화가 다른 꽃들보다 더 아름답다 장소 구분없이 어떠한 꽃이든 잡초든 나무든 상관없이 어디에서나 한데 어울리면서 자랑하지도 않고 드러... 일어나는불꽃 2020.03.22 456
1046 내가 사라진 들녘에는 곡식이 풍성하다. 내가 사라진 들녘에는 곡식이 풍성하다.     죄는 습관의 노예 최상의 좋은 것을 얻으려면 덜 좋은 것을 놓아야 한다.   진실은 단순하고 아름답... 이마르첼리노M 2020.03.21 448
1045 조건 없는 사랑이 가르쳐준 삶 조건 없는 사랑이 가르쳐준 삶   나는 상선벌악의 교리를 배우면서 자랐고 수도원에 입회했다. 젊은 시절에 나는 하느님이 주신 재능으로 많은 일을 해왔다... 이마르첼리노M 2020.03.20 437
1044 고통이 하는 일 고통이 하는 일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주어진다. 피하고 싶은 강한 충동을 일으킨다. 보복과 앙갚음의 원인이다. 탓을 남에게 돌리게 하지만 헛수고... 이마르첼리노M 2020.03.19 441
1043 하느님의 방식 하느님의 방식   진심으로 보고 들으려면 타인의 상황에 몰입하는 마음 없이는 불가능하다.   주는 것의 순수한 기쁨은 받는 사람과 하나가 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0.03.18 515
1042 자유는 어디에? 자유는 어디에?   하느님 없는 그리스도인 현실적 죄악이 아닌 가정된 죄악 현실도피와 타협에 그친 신앙 준비 없는 보고 들음 쉽게 포기하지 못하는 하... 이마르첼리노M 2020.03.17 437
1041 나에 대한 성찰 나에 대한 성찰   외부의 공격과 관계로부터 나를 지키고 보호하려는 의지가 만들어내는 부정적 현상들 거짓말, 합리화, 변명, 탓, 원망, 이중성, 은밀한 ... 이마르첼리노M 2020.03.08 533
1040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우리의 모습을 닮은 사람을 만들자” 창세 1,26   나는 나에게 있는 하느님과 닮은 속성을 존중한다. 이것이 다른 사람... 이마르첼리노M 2020.03.07 595
Board Pagination ‹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