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관계의 문을 여는 열쇠

 

창조주께서는 창조하는 나를 창조하셨다.

진실에 닿아본 사람은 진실을 알아본다.

관계의 진실 속에서 이루고자 하시는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은

새로운 창조의 도구로 그 일을 하도록 사람들을 부르신다.

하느님을 위한 나의 일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나를 통하여 당신의 일을 하시도록

그분께서 쓰시고자 하신다면 당장이라도 쓰실 수 있도록 해드리는 것,

그래서 새로운 창조는 내가 하는 일이 아니라 그분께서 나를 통해서 하시는 일이다.

 

도덕적 우월감으로 꼭대기를 점령했던 내가

추락을 경험하면서 바닥에까지 가본 이후에 비로소 깨달은 진리는

가난하고 겸손하신 두 분의 스승 예수그리스도와 성프란치스코에게서 왔다.

예수 그리스도는 삼위일체 안에서 시작된 관계의 진리를 이 땅에 가져오셨고

성프란치스코는 내적 가난을 통해 그 길을 가도록 나에게 이정표가 되셨다.

 

예수께서는 내가 살아오면서 배우고 깨달은 경험을 통해 당신의 일을 하신다.

젊은 날에 미뤄두었거나 회피했던 것들이

다정한 친구가 되어 돌아와

내 안에서 교사가 되어 나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단순하게 행동하던 내가 생각하는 나로

생각하는 내가 느끼는 나로

느끼는 내가 새로운 행동으로 순환하는 동안

고요하게 관상하는 안목이 생겨났다.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어 통합을 이루는 안목,

진실을 보는 이 안목은 어느 날 갑자기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 고요함은 태풍을 겪은 후에 나타난 고요함이다.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갈등과 혼돈, 눈물과 한숨과 상처, 견딤과 기다림,

무수한 불면의 밤을 보낸 다음 찾아온 치유와 선의 확산,

그리고 사랑과 용서를 통하여 무의식 속에서 자라난 고요함이다.

 

관상하는 안목은

좋아하지 않는 일에 협조하는 법,

금 밖으로 배척했던 것으로부터 배우는 법

수많은 넘어짐에서 다시 일어나면서 깨달은 안목이다.

그 안목은 안과 밖의 원수들을 사랑하는 법을 습득하면서 얻은 귀한 삶의 양식이 되었다.

배고픔과 갈증을 풀어주는 양식, 예수께서 사마리아 여인에게 주신 우물이 되었다.

 

모순과 대립의 극복을 이루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모순과 대립의 극복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셨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무수히 잠겨있는 관계의 문을 여는

유일한 열쇠라는 사실을 매일 매일 깨닫게 하신다.

 

나는 그것을 이미 극복한 것도 아니고 이룬 것도 아니며 그렇게 사는 것도 아니다.

다만 나와 함께하시는 주님의 영께서

나를 이렇게 이끌어주시고 돌보아 주신다는 것을 말할 뿐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4 모기스승 5 유기서원자시절. 밤에 자는데 모기가 와서 왼쪽팔뚝을 물었다. 그래도 난 가만이 있었는데 이 모기가 또 더 위로 올라가더니 다른 한군데를 또 물었다. 이렇게 모... 일어나는불꽃 2015.10.28 977
963 모기스승 6 마지막 이야기. 유기서원자시절. 그때에는 금요일날 아침에 라면을 먹는날이었다. 특히 난 라면을 좋아했었기에 라면을 한 사발 가득 담아서 맛있게 먹었다. 그렇... 일어나는불꽃 2015.11.04 985
962 모래알 해변에서 바라보는 바다의 모습은 아름답다. 수 많은 사람들이 바다를 보기 위해서 오고, 바다의 넓음과 출렁이는 파도와 바다위에 떠 있는 배들을 보기 위해서 ... 일어나는불꽃 2018.02.12 1054
961 모른다. 모른다.   “바람은 불고 싶은 데로 분다. 너는 그 소리를 들어도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 (요한 3,8)   내 삶도 그와 같다. 나는 어디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0.12.20 463
960 모성 모성 가슴 속에서 명주실처럼 허약한 사념의 실오리를 뽑아내어 서투른 글을 쓴다.  삶의 애환 사랑과 진실의 아픔 무언가를 잉태하고 싶고 품어 키우고 싶은 충... 이마르첼리노M 2013.05.26 5565
959 모성과 여성적 영혼을 깨워라 모성과 여성적 영혼을 깨워라   나는 독신으로 살면서 공동생활을 하는 수도자다. 어머니로부터 받은 모성적인 여성성이 내 안에 살아있음이 참된 관계를 ... 이마르첼리노M 2019.09.15 531
958 모욕에 관한 성 프란치스코의 말씀과 인터넷 문화에 대해 성 프란치스코께서 말씀하셨습니다. &quot;모욕은 모욕을 주는 사람의 잘못이지 당하는 사람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quot; (Et sciant, quod verecundia non... 12 고 바오로 2009.06.07 7642
957 목동본당 홈페이지 주소 변경 http://w&#8203;ww.djmok&#8203;dong.org대전 목동본당의 홈페이지 주소가 http://w&#8203;ww.djmok&#8203;dong.org&#8203; 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용에 착오없... 대건 2011.11.29 7494
956 목련 목련 목련 가지 끝에 껍질 벗긴 달걀 하얀 블라우스 입고 웃는 얼굴 오염된 서울하늘 수도원 뜰에 홀로서서 道를 닦는다. 이마르첼리노 2011.04.05 4782
955 목표가 사라진 들녘에는 거둘 것이 없다. 목표가 사라진 들녘에는 거둘 것이 없다.   가치의 무게를 달고 공로의 자로 재는 하느님, 빈틈없는 정의를 요구하고 엘리트만을 사랑하는 하느님, 승자와... 이마르첼리노M 2019.08.31 444
954 몸값에 대한 이해 1. 프랑스 출신 피에르 신부님의 해석 몸값에 대한 이해 1. 프랑스 출신 피에르 신부님의 해석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 이마르첼리노M 2024.03.02 147
953 몸살을 앓고 있는 교회 몸살을 앓고 있는 교회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날 없다”는 말이 있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이 취임 후 그분의 파격적 행보를 보며온 세상 선의의 사... file 이종한요한 2017.08.08 1018
952 무능을 등에 지고 예수님을 따라가기 무능을 등에 지고 예수님을 따라가기   예수께서 행하고 선포하신 복음은 “나를 따르라”고 하셨지 나를 예배하라고 하시지 않았다.   자격 있다고 스... 이마르첼리노M 2020.06.01 534
951 무대책이 대책 무대책이 대책   프란치스칸 삶의 중심에는 하느님께 자신을 전적으로 내어드리는 가난과 아무것도 자신의 힘에 의지하지 않고 하느님의 손길에 맡겨드리는 겸손... 1 이마르첼리노M 2022.03.01 346
950 무상성 (하느님의 베푸심) 무상성 (하느님의 베푸심)   나는 인생 후반부에 들어서 비로소 내 신앙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수 그리스도의 삶 안에서 찾았다. 사람이 되신 예수로 말미암아 그... 1 이마르첼리노M 2022.06.13 576
Board Pagination ‹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