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9.08.26 02:58

쓰레기장에 피는 꽃

조회 수 54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쓰레기장에 피는 꽃

 

정상이 아닌 비정상

설명이 안 되는 예외들을 존중할 때 그것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운다.

보잘것없는 사람 하나를 존중하라”(마태 25,10)

 

예수께서는 변두리에 몰려있는 사람들,

유다 지도층들이 하느님께서 버렸다고 했던 사람들과 함께하셨다.

창녀든 술꾼이든, 이방인이든, 문둥이든, 세리든 상관없었다.

소외된 계층과 음식을 나누고 죄인으로 판명 난 세리들과 자주 어울렸다.

그것은 당시 엄정한 질서와 정결을 중요시하던 교회의 지도자들과

충직한 신도들을 격분케 하였다.

 

자신이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비정상들이 관계를 망친다.

우리는 모두 죄인들이다.”라고 바오로 사도는 말했다.

너나 나나 할 것 없이 모든 사람은 잘못하고 산다.

잘못하는 것이 사람이다. 라는 전제를 두고 관계를 만들어 가야만

다른 사람을 받아들일 공간이 생기고 평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겸손해야만 하는 경우, 겸손을 거절하는 교만이

사람들을 버리고 관계를 단절시킨다.

나는 공범자다. 나의 자만과 착각이 한몫했다.

 

비교평가를 통해 스스로 우월하다는 의식 속에는 사람에 대한 존중은 없고

존중이 없는 곳에는 실존적 공허만 남아 생명의 에너지를 고갈시킨다.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법”(야고보 2,12) 이 사라진 곳에는

쓰고 버려진 이들, 무너진 사람들이 있다.

이들에게는 무엇보다 자비가 필요하다.

 

인간의 실패와 무질서에 적응하려는 곳에 하느님의 자비가 있다.

하느님의 통치는 합리적이지 못하고 예외와 무질서 안에서도

정상적인 관계를 추구하도록 차별 없이 사랑하신다.

 

하느님으로부터 용서를 경험한 이들은 하느님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용서받은 사람은 용서할 수 있다.


쓰레기장에 피는 꽃

거기서 나를 본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들꽃향기 2019.08.27 20:54:09
    쓰레기장에 피는 꽃은
    하느님이 키우시는 꽃이지요?~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2 만찬의 신비 속에서 만찬의 신비 속에서   예수님이 사랑하는 연인들에게 남긴 정표 “이 예를 행할 때마다 나를 기억해라”   먹고 마시는 것은 언제나 생명과 연결되어 있다. ... 이마르첼리노M 2019.08.13 518
911 자격이 없다는 이들이 받는 선물 자격이 없다는 이들이 받는 선물   변화의 선물은 자격이 있는 자들이 받는 것이 아니다. 다만 씨가 떨어지는 세 종류의 땅에서 자신을 발견한 사람 곧 자신... 이마르첼리노M 2019.08.11 514
910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만남이다. 너와 나 사이에 있는 하느님의 현존 그 하느님은 만남의 구체적 현실이다. 그... 1 이마르첼리노M 2019.08.10 504
909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내가 가치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분은 나의 업적과 공로에 대한 보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19.08.08 586
908 십자가의 시나리오 십자가의 시나리오   나 살고 너 죽고 – 폭력으로 구원 – 승패 이판사판 너 죽고 나 죽자 – 폭력에 대해 폭력으로 응답 – 패 패 너도 살고 나도 산다. - 선... 1 이마르첼리노M 2019.08.04 514
907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사람에 대한 존중은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있지 않고 말하는 태도와 상대방의 말을 듣는 데 있다. 자신이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08.03 655
906 무엇에 죽어야 하는가? 무엇에 죽어야 하는가?   십자가에 달려 죽어야만 하는 사람은 나쁜 사람이 아니라 좋은 사람이라고 여기는 거짓된 나이다.   그것 없이는 도저히 살 수 ... 이마르첼리노M 2019.08.01 497
905 지금부터 시작하는 미래 지금부터 시작하는 미래   악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택의 순간마다 선을 선택하는 일이며 힘을 사용하려는 유혹에 힘을 포기하는 선택이다. 예수께서 마지... 이마르첼리노M 2019.07.31 479
904 중간고사 중간고사   대립과 모순의 극복은 최대의 과제다 악에 대한 문제를 풀기 위해 나는 내 인생에서 중간고사를 본다.   고난 겪으시며 겸손하신 사랑의 하느... 1 이마르첼리노M 2019.07.30 543
903 악마의 편 가르기 악마의 편 가르기   도덕적 우위에 올라서서 천사의 탈을 쓴 악마들이 편싸움을 시작했다.   통제의 목적과 수단을 감추고 죄책감이 제거된 신성시된 폭... 이마르첼리노M 2019.07.28 534
902 말하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냐? 말하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냐?   주제넘은 앎은 지식으로 시작한다. 하느님은 지식의 대상이 아닐뿐더러 지식의 대상이 되는 것을 거부하신다.   우리가... 이마르첼리노M 2019.07.26 490
901 방법이 길이다.   방법이 길이다.   추상적 사랑은 가슴 없는 머리 개념은 있으나 만남이 없다.   사랑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이다 구체적 순간에 주님과 사랑에 빠진... 이마르첼리노M 2019.07.24 529
900 정신만 차리면 호랑이한테 잡혀 가도 정신을 차리면 산다는 우리말이 있지요.  지금 우리나라가 바로 그 정신을 차려야 할 때입니다.  일본의 무역제재로 우리가 매우 당황하... 김레오나르도 2019.07.23 773
899 醜의 이력서 醜의 이력서   수치를 모르는 수치 우월과 자아도취 자만과 교만 요란한 빈 수레 폭력의 정당화 궤변의 논리 질서의 파괴 반응의 조작 즉각적인 통제 ... 이마르첼리노M 2019.07.18 813
898 그림으로 그려보는 기도 그림으로 그려보는 기도   정직하고 겸손한 과정 그리움의 원천 추상 아닌 구체적 현실 형태가 없는 현존 말 너머의 말 마주 보는 눈빛   허용과 역설... 이마르첼리노M 2019.07.15 669
Board Pagination ‹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