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9.07.23 04:13

정신만 차리면

조회 수 77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호랑이한테 잡혀 가도 정신을 차리면 산다는 우리말이 있지요

지금 우리나라가 바로 그 정신을 차려야 할 때입니다

일본의 무역제재로 우리가 매우 당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데 당황하면 허둥대기만 할 뿐 어찌 할 바를 모르게 되거나 감정적으로 대응하기 십상이지요


우리가 감정으로 대처하는 것을 일본 사람들은 잘 알기에 

우리가 지금 불매 운동을 하고 갖가지 보복을 얘기할 때 

일본 사람들은 그렇게 떨지도 않고 심지어 냄비근성 운운하며 

얼마 안 가 언제 그랬냐는 듯 잠잠해질 거라고 공공연하게 얘기합니다


그렇지요 금방 달구어지지만 금방 식는 냄비처럼 감정도 

끓어오를 때는 대단한 것 같아도 금방 식지요

감정의 기복이 있다고 하는데 바로 그런 겁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우리가 감정적感情的인 것은 

우리 민족이 정적情的인 민족이기에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고 

기복이 있다는 면에서 안 좋은 면도 있지만 정적인 것이 다 나쁜 것은 아니지요

특히 일본과 비교할 때 정적인 우리의 장단점이 잘 드러납니다


제가 볼 때 일본의 특징은 우리가 마음 심자 정의 정적情的인데 비해 

쌀 미자 정의 정적精的이라는 거였습니다

제 생각에 한자어에서 모두 관계 에너지입니다


그런데 이 인간 관계적이고 사랑과 관련한 에너지인데 비해 

은 일 또는 정신과 관련한 에너지입니다

그래서 일본 사람들은 일이나 학문과 관련한 에너지가 많고 장인정신이라는 것이 있어서 

무슨 일이든 하면 파고들어서 그 분야에서는 전문가들이 되고 빈틈이 없습니다


이렇게 일 에너지, 정신 에너지는 대단하지만 인간관계 에너지나 사랑 에너지는 

너무도 약하고 관계 맺는 것을 매우 조심하며 두려움이 많은 민족입니다

그래서 관계를 깊이 맺는 것을 꺼려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가 많기도 합니다

제가 볼 때 그들은 전 세계에서 가장 삭막한 개인주의자들입니다


흔히 일본 사람들이 친절하다는 것도 백화점에서 손님을 일로 대할 때와 같은 친절이지 

정말로 사람을 반기고 사람과의 만남을 좋아해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우리와 비교할 때 그들이 좀처럼 자기 집에 남을 초대치 않거나 

사람을 일로서 만나지 사랑으로 만나지 않는 것도 바로 이런 겁니다.

 

그에 비해 우리는 전과 비교하면 많은 개인주의화되고, 정도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일본 사람과 비교하면 정이 많고 인정人情이 살아있으며 따듯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정熱情이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의 대단한 힘입니다


우리의 인정과 열정이 모아지면 마치 2002년 월드컵이나 

촛불혁명 때처럼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하는 힘이 됩니다

이것은 정말로, 정말로 전 세계 어떤 민족도 따라올 수 없는 우리의 힘이고 장점입니다

우리가 민주화를 이루고 경제를 이 정도 이룬 것도 바로 이 힘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정신을 잃으면 안 되고, 팔아먹으면 안 됩니다

지금 일본과 우리가 이렇게 된 것은 우리가 정신을 차리지 못해 식민지가 되었고

해방이 되었어도 경제부흥이라는 명목으로 식민지 피해보상을 개인이 청구할 수 없도록 

박정희 정권이 한일협정을 잘못 맺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일본 사람들의 입에서 일본 덕에 한국 경제가 일어섰다는 말이 나오는 겁니다

일본 덕에 한국 경제가 일어서면 일본 때문에 한국 경제가 무너진다는 말도 되지요

우리가 계속 돈 때문에 우리의 정기精氣를 조선 말기처럼 잃거나 

박정희 때처럼 팔아먹으면 우리는 다시 경제 식민지가 될 겁니다


일본이 지금 이렇게 하는 것은 

우리가 일어서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지금 기를 꺾겠다는 겁니다

그러니 정기를 잃지 않도록 정신을 이 참에 차려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가 의존을 줄일 좋은 기회입니다

그러니 쫄지 말고 정신을 차려야 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2 섣달그믐에 뜬 보름달 섣달그믐에 뜬 보름달 (용서를 청한 엄마의 편지에 대한 자녀들의 답장)   섣달그믐 날 멀리서 직장 생활을 하는 둘째 딸에게서 문자가 왔다. 명절이라고... 이마르첼리노M 2021.02.12 409
1181 사순절에 꼭 해봐야 하는 질문 ( 2/2페이지) (2/2페이지) 나는 하느님이 우리를 사랑하시기 위해 희생을 요구하신다는 생각 자체를 바꿨다. “동물을 잡아 바치는 제사가 아니라 이웃에게 베푸는 자선이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2.19 409
1180 장애아를 가진 어떤 어머니의 기도 장애아를 가진 어떤 어머니의 기도   주님! 이 아이를 제가 지은 어떤 죄의 결과라고, 저의 탓이라고 생각지 말게 하시고 당신께서 주신 은총의 선물로 생각해서... 2 이마르첼리노M 2022.04.29 409
1179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안에서 발견한 하느님 내 밖에서 발견한 하느님 나는 그 가짜 하느님을 버렸다. 내 상처와 불안이 만든 하느님은 내 믿음이 ... 1 이마르첼리노M 2019.10.25 410
1178 무엇을 보고 있느냐? 무엇을 보고 있느냐?   우리는 저마다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경향이 있다. 관심사에 따라 보는 것의 우선순위가 결정되기 마련이다. 관심사가 클... 1 이마르첼리노M 2020.11.06 410
1177 용머리 길을 걸으며 용머리 길을 걸으며   담양호 수변에 걷기 좋은 산책길 나의 두 눈이 호수를 산책하는 동안 보는 것에 잔뜩 배부른 나는 아픈 허리의 통증을 느끼면서도 ... 이마르첼리노M 2021.02.07 410
1176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기쁨을 발생시키지 않는 율법은 자비로운 용서가 없기 때문이다. 용서는 과거로 돌아가 상처받기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19.10.19 413
1175 예수를 받아들인 사람은? 예수를 받아들인 사람은?   요한복음에 나타난 하느님 창조 이전부터 계셨고 하느님과 똑같은 말씀 아버지를 계시하신 말씀 말씀으로 창조하시는 하느님 ... 이마르첼리노M 2021.04.23 413
1174 단순하게 살기로 작정하면, 단순하게 살기로 작정하면,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니셨던 마음을 여러분의 마음으로 간직하십시오.” (필립 2,5) “여러분 안에 계셔서 여러분... 이마르첼리노M 2021.07.30 413
1173 참여하는 기쁨으로 (성프란치스코의 피조물의 찬가) 참여하는 기쁨으로 (성프란치스코의 피조물의 찬가)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니셨던 마음을 여러분의 마음으로 간직하십시오” (필립2,5) 우리는 누구든... 1 이마르첼리노M 2022.04.24 413
1172 깨어남과 깨어 있음 깨어남과 깨어 있음   언제든지 선을 행하려고 깨어있는 사람은 현재의 자유로 희망의 봉오리를 연다. 측은하고 가엾이 여기시는 하느님의 마음을 지니고 ... 이마르첼리노M 2020.10.30 414
1171 지금 행복한 사람은 미래에도 행복하다. 지금 행복한 사람은 미래에도 행복하다.   착하고 성실한 신자들 가운데는 내세를 위한 업적 쌓기에 바쁘게 사는 사람이 많다. 꽃을 꽃 자체로 보지 못하... 이마르첼리노M 2020.02.07 416
1170 연약하고 무력한 두 손으로 연약하고 무력한 두 손으로   나의 우물은 깊다. 그러나 밖에서 물을 찾는 건 갈증을 해결할 수 없었다. 그리스도 예수께서 나에게 하신 일은 내면의 양... 이마르첼리노M 2020.12.02 417
1169 성사(聖事), 자연 안에서 경탄하는 신비 성사(聖事), 자연 안에서 경탄하는 신비   자연 안에서 오래 침묵할 줄 아는 사람은 자연 안에서 경탄한다. 자연과 하나 되어 자연의 한 부분으로 피조물을 ... 이마르첼리노M 2021.08.12 418
1168 정동 이야기 (8) 정동 수도원 이야기 (8)  아름다운 기억 그동안 정동 수도원에 수많은 사람들이 거치면서 프란치스칸 영향력으로 많은 사람들이 세례를 받게 되었는데 그중... 이종한요한 2022.01.15 418
Board Pagination ‹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