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1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가 그대들에게...


  정원에 피어나고 있는 꽃 사진을 앵글에 담으려니

  유난히 할머니, 엄마의 모습이 그리워진다.


  늘 초봄이면 텃밭의 흔한 꽃들이지만 할머니는 요런저런 꽃씨들을 뿌리셨다.

     "할머니, 요건 무슨 씨예요?  조건 백일홍 씨라고요? 빨강이 예뻐요, 노랑이 예뻐요?  채송화 씨는 왜 이케 작아요?

     뒤켵의 복숭아 꽃도 곧 발그스레 피겠지요?  앵두는 언제쯤 익나요?..."

  궁금한 게 너무도 많아 끊임없이 질문하는 손자에게, 할머닌 그때마다 주름지신 웃음 꽃으로 한번도 귀찮은 기색없이

답변을 잘 해 주셨다.  그때의 피어오르는 영상들은 모두가 공통점이 있는데, 늘상 기다려야 나타나시는 엄마처럼

무언가 가득한 그리움들.  온 누리가 연초록으로 변할 대자연의 변화에, 어쩌면 꼬맹이의 작은 가슴에도 그렇듯 연한 초록빛 물감이 자꾸만 자꾸만 채색되어 가는 것이다.  

  뒷 산 산새들도 어디선가 겨우내 자던 잠을 깨우고 고요하기만 하던 정적을 이따금 깨뜨리면,

     "할머니, 왜 새들은 겨우내 어디에 있다가 봄이 되면 나타나는 거지요?"

     "인석아, 겨울엔 추워서 잠을 자야 했거던.  이제 따사한 봄이니까 소풍나오기 시작한 거구."


  자연의 모든 것은 그렇게 아잇적부터 특별한 감수성으로 다가왔고, 그 시절부터 무한한 경외심으로 익어갔나 보다.



  엄마에 대해선 어땠을까?  엄마는 직장에 다니시어 저녘 땅거미질 무렵에야 볼 수 있었고 다음날 새벽이면 출근하셔야 했던 고로...

  그래선지 밤의 잠자리, 엄마의 가슴은 늘 고사리 손의 전부일 수 밖에.

      "오늘 낮에 뭐하고 놀았니?"

      "응, 할머니하고 화단 가꾸었어요.  뿌린 씨들은 몇 밤을 지나야 세상에 나오나요?  얼릉 보고픈데...!"


  그런 엄마는 쉬시는 주일이면, 부지런하시어 고단하신 기색도 없이 새벽부터 대청소며 밀린 집 안의 큰 일들로 온통

발칵 뒤집어 놓곤 하셨으니, 모든 엄마들이 다 그런줄 알았다.

  저녘 퇴근 시간이면, 늘상 고개를 치어들고 멀리 고갯길을 이제나 저제나 나타나시려나 학수고대하던 내 모습!

그래선지 지금도 꿈 속에 엄마의 존재는 매양 그리움, 기다림의 연속이어서 제대로 맘 편히 만나지는 법이 없다.           


  아까시아 향기가 짙어질 이맘때면, 솔솔 한강변에서 밀려오는 할머니, 엄마의 그윽한 향그러움!

  어쩌면 두 분은 내 삶에 속한 전부였기에, 곁에 있는 자체가 행복이었으리.

     

  어버이 날인 오늘, 이렇듯 정원에 눈길을 보내노라니 늘상 그 자리에 서 있는 나무들이며 한 땀 한 땀 손길이 간 꽃들이 화사한 요정처럼 할머니와 엄마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을 속삭여 준다.  그리고 흙이나 작고 큰 돌맹이와 바위들이 서로를

나누는 깊은 우정이며, 흙 속의 지렁이들도 때를 만나 꼼틀거리는 양이 그렇게 미더울 수가 없어, 도심 속 시골스러움이 잘 어우러진 기적이 아닌가 싶어진다.  생명에 대한 경외심과 신성한 믿음이 이 작은 정원에 가득찬 모습!


  아득한 기억 속에 되살아 오는 어릴적 회상에 대한 다양한 영상들!  어른들의 사랑으로 더없이 폭은했던고향과 어린 시절!  마치 시간을 잊은 채 조용히 마주해 있는 멧비둘기 한쌍과 까치도 좀체로 자리를 뜨지않으려는 마냥 한가한 지금의 모습.  어쩌면 먼 과거일지라도 현재와의 사이에 내 자신을 의식할 수 있는 시간은, 한바탕 꿈을 꾸는 꿈처럼 놀랄만큼 짧다고 해야 할까. 

  그래서 할머니와 엄마의 존재가 늘 곁에 계시는 건 아닐까.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1. No Image

    풀잎 풀꽃 하나의 신비!

    T 온 누리에 평화가...   봄이 살며시 다가 와 이렇게 말을 건네는 것같다.   "맛..님, 어느덧 2017년의 봄이 오고있네요.  여기 정원엔 맨 먼저 잔디밭에 이름하여 잡초라고 하는 풀싹들이 여기저기 고개를 내밀고 있고, 재작년에 심은 작은 동백에 제...
    Date2017.02.28 By김맛세오 Reply0 Views1141
    Read More
  2. No Image

    길 고양이 덕분에, 감사를...

    T 평화와 선   평소와는 달리 인왕산행 산책 코스를, 산 중턱쯤의 경비처소가 있는 곳에서 왼쪽으로 잡았다.  바로 옆 성곽이 내려다 보이는 경관이 한 폭의 멋진 그림이어서, 한 컷의 사진을 담고 나무 계단을 밟고 아래로 내야가야 하는 곳이 나온다.  그...
    Date2017.07.14 By김맛세오 Reply0 Views1140
    Read More
  3. No Image

    불자(佛者)인 외사촌 형을 생각하며...

    T 평화가 온 누리에.   오늘같은 초파일이면 단 하나 뿐인 외사촌 형이 생각난다.   15년 전쯤 큰외숙모가 돌아가셨을 때 절에다 모셨기에 이모들을 따라 가본 적이 있었기에 그 기억이 남다르게 남아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하기사 어릴적엔 엄마를...
    Date2017.05.03 By김맛세오 Reply0 Views1139
    Read More
  4. No Image

    나의 유일한 형

    T 평화와 선     지난 봄, 늘 건강하던 형이 뇌경색으로 쓰러지시어 입원했다는 연락이 왔다.   다행히 경미한 상태여서 시름을 놓았지만, 이후로는 잘 다니시던 직장에 손을 놓으셨고 치유 회복을 위한 재활치료와 걷기 운동을 꾸준히 하시나, 이전의 건...
    Date2018.10.31 By김맛세오 Reply1 Views1135
    Read More
  5. No Image

    내 기억 속의 다양한 영상들

    T 평화가 그대들에게...   정원에 피어나고 있는 꽃 사진을 앵글에 담으려니   유난히 할머니, 엄마의 모습이 그리워진다.   늘 초봄이면 텃밭의 흔한 꽃들이지만 할머니는 요런저런 꽃씨들을 뿌리셨다.      "할머니, 요건 무슨 씨예요?  조건 백일홍...
    Date2017.05.08 By김맛세오 Reply0 Views1135
    Read More
  6. No Image

    방하착(放下着)

    T 평화를 빌며...   이 아침, 얼핏 '방하착(放下着)'이란 용어가 떠오른다.   이 말은 "공허한 아상(我相), 즉 나의 모든 걸 내려놓아야 한다."는 의미로, 흔히 불가의 스님들이 잘 사용하고 어떤 화두가 잘 풀리지 않을 때 곧잘 떠올리는 말로 알고있다. ...
    Date2019.01.14 By김맛세오 Reply0 Views1132
    Read More
  7. No Image

    유난히 즐거왔던 인왕산행

    T 온 누리에 봄기운이...   주말엔 언제나 그렇듯이 틈을 내어 가장 가까운 인왕산엘 오르곤 한다.   길목마다 하루가 다르게 봄 기운이 무르익어 가는 모습에, 피조물인 자연의 책을 통해 하느님을 읽는다.   인왕산은 예로부터 '산왕대신(山王大神)'에 ...
    Date2017.03.27 By김맛세오 Reply0 Views1103
    Read More
  8. No Image

    자연의 계절, 인간의 계절

    T 온 누리에 평화   어젠 가리봉동 수녀원의 주일 미사에 참례한 후, 가까운 산으로 산행을 하리라 마음을 먹었다.  딱히 정해진 산은 없었지만 지하철 노선을 보니 종점 중의 하나인 광교역이 눈에 들어왔다.  그래 거기서면 광교산에 오를 수 있으려니 생...
    Date2017.08.08 By김맛세오 Reply0 Views1099
    Read More
  9. No Image

    사실 매화보다 섬진강 물결이...

    T 평화가 온 누리에...   이맘때면 매화가 피기 시작했을 터인데...콤퓨터에 광양의 매화마을을 처보니, 거의 다 예전에 실은 사진이나 글이어서 올해엔 며칠쯤에 매화가 잘 필건지 확실한 신빙성이 없었지요.  그래서 점을 치듯 매화에 대한 소식을 접한 ...
    Date2017.03.27 By김맛세오 Reply0 Views1095
    Read More
  10. No Image

    평창동 수도원에서의 생활

    T 평화와 선 평창동 수도원은 북한산, 보현봉 자락에 위치하여 정동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공기가 맑아 좋은 곳이다. 한가지 예로서- 정동에서 지냈을 땐, 수도복 하이얀 띠가 금방 새까만 먼지로 더럽혀지는 반면에, 평창동에 와서는 지난 2월 이후 한번도 ...
    Date2019.12.11 By김맛세오 Reply0 Views109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