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주인은 그 불의한 집사를 칭찬하였다.

그가 영리하게 대처하였기 때문이다.”

 

불의한 집사와 영리한 집사.

 

오늘 비유에 나오는 집사는 영리한 집사가 아니라 영악한 집사가 아닐까요?

불의하다면 사악한 사람이라고 하거나

적어도 영악한 사람이라고 해야 마땅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쨌거나 주님께서는 불의한 집사를 어찌 영리하다고 하시는 것일까요?

아니 어째서 불의한 집사를 영리한 것 때문에 칭찬하시는 것일까요?

칭찬하다는 것은 권장한다는 뜻이 아닙니까?

 

오늘 복음에서 주님께서는 이 비유를 당신의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는데

제자들이 이 집사처럼 하라는 말씀이잖습니까?

그리고 제자들에게 말씀하신 것이니 우리에게도 그리 하라는 말씀이고요.

 

정말 우리가 그래도 되는 것입니까?

 

물론 주님께서 그리 말씀하시니 그래도 됩니다.

아니 그래야 합니다.

 

하느님의 것은 내 것이 아니니까 맘껏 선심善心을 써도 됩니다.

내 것으로 삼지만 않으면 됩니다.

그러면 착복이 되어 진짜 불의한 것이 되지만

하느님의 것은 당신 자녀에게 주시고자 하는 것이니 맘껏 선심 써도 됩니다.

 

사실 집사가 불의했던 것은 자기 마음대로 빚을 탕감해준 것이 아니라

주인의 재산을 자기 마음대로 낭비할 때였습니다.

 

낭비란 무엇입니까?

무가치하게 없애버리는 것이 낭비가 아닙니까?

 

예를 들어, 돈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사랑을 위해 쓰지 않고

술이나 퍼먹고 오입질을 하는 데나 쓰는 것이 낭비입니다.

 

그러니까 제자들에게 이 비유를 말씀하신 뜻은

하느님의 집사들인 제자들이 자기에게 맡겨진 하느님의 은총을

쓸 데 없이 낭비하거나 함부로 낭비하지 말고

이웃 사랑이 되고, 사랑의 봉사가 되는 쪽으로 쓰라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집사인 우리에게도 맡겨진 하느님의 은총이 많습니다.

나에게 돈이 많지 않다고 하느님의 은총이 적은 것이 아닙니다.

 

장애를 가진 분들을 생각하면

우리는 육신이 건강한 것 하나만으로도 은총이 넘칩니다.

그런데 안 좋은 음식과 안 좋은 일에 자기 몸을 함부로 굴려

그 몸으로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은총을 낭비할 수도 있습니다.

건강하면 좋은 일 많이 할 텐데 하고 장애를 가진 분들이 부러워하는

건강을 우리는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 은총을 낭비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시간은 또 어떻습니까?

일과 살림을 둘 다 하느라 조금의 짬도 없는 분들을 생각하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시간이 많다는 것은 엄청난 은총입니다.

그런데 시간이 남아돌아도 기도나 좋은 일을 하는데 쓰지 않고

잠이나 자고 티브이 보는데 시간을 쓴다면 이 또한 은총의 낭비입니다.

 

이렇게 우리 삶의 구석구석을 보면 우리 또한

주님의 질책을 받아 마땅한 은총의 낭비자들일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나는 은총을 잘 쓰고 있는지,

아니면 어떤 은총을 낭비하고 있는지 돌아보는 하루가 되어야겠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풍경소리 2014.11.07 08:16:48
    그렇습니다.
    곡간의 열쇠는 마음에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마음을 어떻게 쓰느냐 하는 것이겠지요.
    사심이 없는 마음으로
    " 하느님의 것은 내 것이 아니니까 맘껏 선심善心을"쓰는 하루가 되도록 마음을 쓰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7Dec

    성 요한 사도 축일-보기만 합니까, 보고 믿습니까?

    오늘 독서와 복음은 보는 것과 관련한 말이 많이 등장합니다. 우선 요한의 편지에 나오는 말만 나열해보겠습니다. “우리 눈으로 본 것, 우리가 살펴보고 우리 손으로 만져 본 것, 이 생명의 말씀에 관하여 말하고자 합니다.” “우리가 그 생명을 보고 증언...
    Date2014.12.2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2116
    Read More
  2. No Image 26Dec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같은 곳을 보게 하는 성령

    “보십시오. 하늘이 열려 있고 사람의 아들이 하느님 오른 쪽에 서 계신 것이 보입니다.” 오늘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 “박해자들을 위해 기도한 성 스테파노를 본받아 원수까지 사랑하게 하소서.” 오늘 본기도의 내용입니다.   우리의 첫 순교자 스테파...
    Date2014.12.2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2113
    Read More
  3. No Image 25Dec

    예수 성탄 대축일-개별적이고 보편적인 예수 성탄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마침내 그리스도께서 갓난이로 태어나신 성탄이 왔습니다. 우리는 이 성탄을 서로 축하하고 같이 기뻐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축하와 기쁨이 형식적인 축하와 거짓 기쁨이 되지 않으려면 우리는 여...
    Date2014.12.2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727
    Read More
  4. No Image 24Dec

    12월 24일-우리도 비록 어리고 작아도

    “그때에 즈카르야는 성령으로 가득 차 이렇게 예언하였다.”   혼자 말문이 막혀있던 즈카르야도 비로소 말문이 열리고, 혼자만 성령을 받지 못했던 즈카르야도 드디어 성령을 받습니다. 그리고 성령으로 가득 차 예언을 하는데 예언이라기보다는 장엄한 ...
    Date2014.12.2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504
    Read More
  5. No Image 23Dec

    12월 23일-어느 유기 서원자의 강론

    평화를 빕니다. 오늘 복음의 내용은 요한의 출생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이 복음을 읽으면서 저는 요한이 아니라 즈카르야의 삶에 대해서 묵상을 해보았습니다. 그러면서 저는 오늘 복음에 나타나 즈카르야의 삶을 두 줄기로 묵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 두...
    Date2014.12.2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918
    Read More
  6. No Image 23Dec

    12월 23일-내 입이 하느님을 찬미할 때까지

    “그때에 즈카르야는 즉시 입이 열리고 혀가 풀려 말을 하기 시작하면서 하느님을 찬미하였다.”   신앙과 관련하여 <믿음>, <불신>, <의심>이라는 말이 있는데 불신과 의심은 비슷하면서도 그 결이 조금은 다른듯합니다.   믿지 못하기는 마찬가지이지...
    Date2014.12.2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749
    Read More
  7. No Image 22Dec

    12월 22일-나는 구원받았는가?

    “내 영혼이 주님을 찬송하고, 내 마음이 나의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기뻐 뛰니, 그분께서 당신 종의 비천함을 굽어보셨기 때문입니다.”   어제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믿음에 대해 칭송을 하자 오늘 마리아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찬미가를 노래하는데 이 ...
    Date2014.12.2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2167
    Read More
  8. No Image 21Dec

    대림 제4주일

     천사가 마리아에게 나타나 인사를 합니다. '은총을 받은 이'라는 칭호와 함께. 그리고 이어서 천사는 믿기 어려운 이야기를 마리아에게 합니다. 처녀의 몸으로 아들을 낳을 것이라는.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주님께서 마리아와 함께 계시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Date2014.12.2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1091
    Read More
  9. No Image 21Dec

    대림 제 4 주일-주님께서 세우기를 진정 바라시는 것은?

    오늘 제 1 독서 사무엘 하권의 얘기는 다윗 생애 말년의 얘깁니다. 적들을 모두 물리치고 잘 지은 궁전에서 평안히 살게 된 다윗이 이제야 눈을 돌려 하느님께서 계실 성전을 짓겠다고 제의합니다. 하느님 집은 초라한데 자기 집은 화려한 것이 마음에 걸린...
    Date2014.12.2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577
    Read More
  10. No Image 20Dec

    12월 20일-마리아처럼 그리스도의 어머니가 되려면

    “성령께서 너에게 내려오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힘이 너를 덮칠 것이다. 그러므로 태어날 아기는 거룩하신 분, 하느님의 아들이라 불릴 것이다.”   요 며칠, 복음에 매번 등장하는 존재가 천사 가르리엘과 성령입니다. 가브리엘 천사가 그제는 요셉...
    Date2014.12.2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208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 720 Next ›
/ 72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