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49 추천 수 4 댓글 4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우리는 보물을 질그릇 속에 지니고 있습니다.”

너희는 내 잔을 마실 것이다.

 

어제 우리는 불평하는 우리를 정화해야 함을 봤습니다.

그런데 불평보다 앞서는 것이 불만입니다.

곧 무엇에 대해 누구에게 불만이 있는데 그것이 표출되는 것이 불평이지요.

 

그런데 불만과 만족은 욕구의 문제이고

만족은 만복, 만선, 만원의 경우와 같이

욕구가 채워졌느냐 덜 채워졌느냐의 문제입니다.

채워지면 만족이고 채워지지 않으면 불만입니다.

 

그런데 이 욕구란 것이 참으로 묘한 놈입니다.

있다가도 없어지는 놈이니 있다고 할 수도 없고,

없어졌다가도 다시 생기는 놈이니 없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어제 우리는 점심을 굶었는데 그 때는 식욕이 대단했었지요.

그러나 저녁을 먹고 나자 그 식욕이란 것이 언제 있었냐는 듯 없어졌는데

욕구란 그 자체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이처럼 있다가 없다가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결과적인 것, 곧 채우니 없어지는 것이라면

원인적으로도 있다가 없어질 수도 있는 것입니다.

바라고 원하던 바가 이루어지고 나면 이제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고 하는

것처럼 욕구란 바라는 것이 이루어져서 없어지는 것일 수도 있지만

어떤 이유에서건 더 이상 바라지 않게 되면 원인적으로 없어지는 것입니다.

 

욕구의 원인제거입니다.

채워지고 난 뒤에 <더 이상> 바라지 않는 것이 아니라

아예 그리고 애초에 <더 이상> 바라는 것을 없애는 것입니다.

 

일생 남편이 더 좋은 남편이기를 바랐는데 안 되는 것을 알고 나서는

이제 더 이상 바라지 않고 그대로 살기로 합니다. 욕구의 포기이지요.

 

그런데 이 욕구의 포기가 남편/사람에 대한 실망으로 인한 경우도 있지만

하느님께 대한 갈망 때문에 또는 하느님 만족 때문에 그리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욕구의 포기는 욕구의 change변화입니다.

오늘 독서와 복음은 <질그릇>이나 <>을 얘기하는데 잔의 change입니다.

세상 것으로 가득 채우려던 잔을 천상 것을 담는 잔으로 바꾸고

쓰레기를 담던 질그릇을 보물을 담는 질그릇으로 바꾸는 겁니다.

 

그런데 오늘 축일로 지내는 야고보 사도가

<잔 바꾸기>의 대표이고 모범입니다.

주님께서 마실 잔을 같이 마시겠다던 말대로 주님과 같은 잔을 마셨습니다.

 

욕망의 잔을 갈망과 열망의 잔으로 바꾼 것이고,

세상욕망의 잔을 천상갈망의 잔으로 바꾼 것이요,

쾌락의 잔을 수난Passio의 잔으로 바꾼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수난과 수난의 잔을 묵상해봅시다.

수난受難이라는 말은 받아들일 와 어려울 ,

그러니까 고통과 어려움을 받아들인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왜 어려움을 왜 받아들이고 고통을 어떻게 받아들입니까?

사랑 때문에 받아들이고 사랑의 힘으로 받아들이는 겁니다.

하느님 사랑 때문에 받아들이고 하느님 사랑의 힘으로 받아들이는 겁니다.

 

프란치스코는 이렇게 기도했다고 하지요.

주님, 나를 사랑하시는 그 사랑 때문에 황송하옵게도 당신이 죽으셨으니,

당신을 사랑하는 그 사랑 때문에 나도 죽을 수 있도록,

당신 사랑의 불과도 같고 꿀과도 같은 힘으로

내 마음을 하늘 아래 있는 모든 것에서 빼내어 차지하소서.”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용서받은죄인 2022.07.20 22:38:49
    19년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br />(욕구 바꾸기)<br />http://www.ofmkorea.org/243074<br /><br />18년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br />(입만 살아가지고!)<br />http://www.ofmkorea.org/130424<br /><br />17년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br />(포기치 않는 하느님의 말씀)<br />http://www.ofmkorea.org/108287<br /><br />16년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br />(하늘나라 신비 학교)<br />http://www.ofmkorea.org/91718<br /><br />15년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br />(허락된 것만큼만 아는 우리 인간 존재)<br />http://www.ofmkorea.org/80343<br /><br />11년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br />(겸손은 지혜를, 지혜는 신비를)<br />http://www.ofmkorea.org/5210<br /><br />09년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br />(그래도 내가 하는 말이다!)<br />http://www.ofmkorea.org/2867<br /><br />08년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br />(신비와 비유)<br />http://www.ofmkorea.org/1526
  • profile image
    홈페이지 깻잎 2019.07.25 09:21:21
    유럽의 holy grail myth 과 결혼 잔치의 술독 안을 물로 채우고 술로 바꾸신 기적이 떠오르네요. 고맙습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19.07.25 05:06:19
    신부님의 말씀을 같은 전례시기에는 어떻게 묵상하고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19.07.25 05:05:21
    18년 성 야고보 사도 축일
    (고배苦杯에서 축배祝杯까지.)
    http://www.ofmkorea.org/130367

    17년 성 야고보 사도 축일
    (사랑이 사랑을 담다)
    http://www.ofmkorea.org/107894

    16년 성 야고보 사도 축일
    (정화가 필요해!)
    http://www.ofmkorea.org/91918

    15년 성 야고보 사도 축일
    (버리는 것도 위대하지만 바치는 것이 더 위대하다)
    http://www.ofmkorea.org/80446

    13년 성 야고보 사도 축일
    (주님의 잔)
    http://www.ofmkorea.org/55255

    12년 성 야고보 사도 축일
    (오해에서 이해로)
    http://www.ofmkorea.org/32804

    11년 성 야고보 사도 추일
    (야고보는 할 수 있을까?)
    http://www.ofmkorea.org/5218

    09년 성 야고보 사도 축일
    (십자가의 공동 운반자)
    http://www.ofmkorea.org/2882

    08년 성 야고보 사도 축일
    (생명 넘치는 술잔)
    http://www.ofmkorea.org/1527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17Aug

    연중 19주-나이 먹어 애가 되자

    “어린이들을 그냥 놓아두어라. 나에게 오는 것을 막지 마라. 사실 하늘나라는 이 어린이들과 같은 사람들의 것이다.”   주님의 이 말씀들을 오늘은 쪼개어 묵상하려고 합니다. 전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쪼개서도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어린이들을...
    Date2019.08.1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223
    Read More
  2. 16Aug

    연중 제19주간 토요일

    2019.08.17. 연중 제19주간 토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7379
    Date2019.08.16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40 file
    Read More
  3. No Image 16Aug

    연중 19주 금요일-아주 쉽게 사는 법

    오늘 여호수아기는 매우 장엄합니다. 아브라함 선조 때부터 야곱과 모세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베푸시고 해주신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펼쳐 보이니 그야말로 장엄한 파노라마입니다.   우리는 진정 이렇게 나와 ...
    Date2019.08.1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328
    Read More
  4. 16Aug

    연중 제19주간 금요일

    2019.08.16. 연중 제19주간 금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7368
    Date2019.08.16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53 file
    Read More
  5. No Image 15Aug

    성모 승천 대축일-아주 현명한 승천전략?

    누차 얘기한 바이지만 성모님의 이러저러한 축일이 많은 것은 어머니 마리아가 아드님 예수 그리스도와 모든 면에서 함께 하셨고 그래서 같아지셨다는 뜻에서 축일이 제정되었기 때문인데 성모 승천 대축일도 예수 승천 대축일과 같은 뜻에서 제정되었지요....
    Date2019.08.1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266
    Read More
  6. 15Aug

    성모승천 대축일

    2019.08.15. 성모승천 대축일 - http://altaban.egloos.com/2237358
    Date2019.08.15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47 file
    Read More
  7. 14Aug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꼴베 사제 기념일

    2019.08.14.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 기념일 - http://altaban.egloos.com/2237340
    Date2019.08.14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64 file
    Read More
  8. No Image 14Aug

    연중 19주 수요일-충고를 꺼리는 이유들

    “네 형제가 너에게 죄를 짓거든, 가서 단둘이 만나 그를 타일러라. 그가 네 말을 들으면 네가 그 형제를 얻은 것이다.”   오늘 주님의 말씀들을 들으면서 두 표현, 곧 <네 형제가>, <단둘이 만나>라는 표현에 마음이 찔렸습니다.   먼저 <네 형제가>를...
    Date2019.08.1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291
    Read More
  9. No Image 13Aug

    연중 19주 화요일-부추김과 부축은 힘과 용기의 마중물

    이스라엘 백성이 이제 곧 가나안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나 여기까지 이스라엘을 영도한 모세는 같이 들어갈 수 없습니다. 아무리 모세가 죄를 지었다지만 그 벌 치고는 너무 가혹합니다.   그런데 제 생각에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과 가나안에 들어가...
    Date2019.08.1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312
    Read More
  10. 12Aug

    연중 제19주간 화요일

    2019.08.13. 연중 제19주간 화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7325
    Date2019.08.12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1 Views48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 722 Next ›
/ 72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