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1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제 목 : 성 금요일 (1812)
작 가 : 월터 덴디 셀더(Walter Dendy Salder)
소재지 : 영국 리버풀 워커(Walker) 미술관

성인들은 가톨릭 영성의 꽃이요 보석들이다. 어떤 처지에서든 하느님만으로 온전히 만족하게 사셨던 분들이 바로 성인이며, 같은 그리스도 교회에서도 동방교회, 성공회는 성인을 공경하지만 개신교는 “오직 주님만으로”라는 그들의 철저한 편헙성 때문에 성인을 인정하지 않는다.

교회의 성인들은 그들의 출신의 다양성만큼 성덕이나 삶의 방식도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지난 8월 8일 축일을 지낸 성 도미니코는 성 프란치스코와 영적 형제로서 거의 동 시대에 탁발 영성 운동을 시작했으나 삶의 방법은 둘이 서로 다르면서 탁발의 이상을 아름답게 증거한 성인이시다.

성 도미니코는 1170년 스페인 칼라루에카에서 태어나셔서 오스마 대성당의 참사원으로 계시면서 교회의 현실을 직시하게 되었다.

당시는 교황권이 황제들 위에 있는 종교 지상주의가 되면서 교회는 부유해지고 많은 부패 문제가 생겼으며, 이런 복음적 향기를 상실한 교회에 대한 실망들은 이단들을 양산시켰다. 한마디로 복음대로 살고 싶은 사람들이 교회 안에서 발붙일 수 없다는 절망적 생각은 이들을 교회 밖으로 내몰면서 이들을 기성교회에 반항하는 이단으로 만들었다.

프란치스코 성인 당대에 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을 중심으로 시작된 알비파 이단은 부패한 교회를 사정없이 공략하면서 교회의 위상을 흔들어서 인노첸시오 3세 교황은 이들의 회유시키기 위해 십자군을 동원해서 무력 진압까지 했으나 성인의 생각은 달랐다.

이단은 복음적 향기를 상실한 부패한 교회라는 습지에서 생기는 독버섯이기에, 이것은 교회를 정화하면 자연히 사라진다는 생각으로 교회 내부의 쇄신, 특히 성직자 수도자들이 쇄신되어 복음적 향기를 풍길 수 있도록 했다.

이단들의 새로운 학설을 논박하기에 너무도 무식하고 수준 이하인 교회 성직자들의 현실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회원들에게 신학 교육을 강화하여 이론적으로 교회의 힘이 되고자 했다.

이 노력의 결과로 성 도미니코는 당시 내부의 부패 개혁과 알비 이단의 도전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성 프란치스코와 함께 가난한 교회로 돌아가는 운동인 탁발의 영성 계발에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두 성인의 복음적 가난의 삶에의 열망은 동일했지만 이것을 실천하는 방법은 전혀 달랐다. 성 프란치스코는 순회설교를 통한 가난과 노동의 삶으로 복음적 가난을 증거한 반면, 성 도미니코는 학문 연구를 바탕으로 당시 교황이 원하시던 숙원 사업에 협력함으로서 성 프란치스코와 다른 방법으로 탁발의 이상을 실천하게 된다.

성 프란치스코를 너무 사랑하고 존경했던 성 도미니코는 어느 날 같은 이상을 가진 두 수도회가 합치면 좋을 것이라 생각하고 프란치스코에게 청했다.

그는 오래 기도한 후 서로의 길을 가는 것이 주님 뜻에 맞는 것이란 말로 거절해서 통합은 실현되지 않았으나 같은 이상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살아가는 쌍둥이로서의 유대와 일치를 항상 지니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작품은 두 수도회의 모습을 한 장면에 제시함으로서 서로의 차이점 발견은 물론 이것을 통해 본래적 삶의 회복에 필요한 지혜를 제시하는 고발성 작품이라 볼 수 있다.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한다”(Ecclesia semper reformanda.)는 원칙은 교회의 가장 기본적 단위인 수도생활에서도 필요한 원칙이란 면에서 도미니코 수도원의 한 모습을 통해 되찾아야 할 가난의 내용을 고발하는 작품이나 해학적인 여유를 보이기에 고발에서 볼 수 있는 긴장감 보다는 오히려 풍자성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삶의 여유와 즐거움을 주고 있다.

세상 만물 안에 드러나는 하느님의 선성에 대한 찬미와 감사를 강조하는 탁발 수도자의 여유로움은 밝지 못한 현실의 조명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F&B1.jpg

먼저 이 작품의 주제처럼 이 상황이 바로 성 금요일에 일어난 사건임을 강조하기 위해 식당 문 위에 올리브 가지를 걸어 두었다. 이것은 성주간이 시작되는 성지주일에 주님께서 수난하시려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신 것을 기념하는 것인데, 걸어둔 가지가 싱싱한 것을 보아 아직 걸어 둔지가 얼마 되지 않는 성주간임을 알리고 있다.

이 성지 가지는 한 쪽 문만이 아닌 양쪽 문에 다 걸려있는데, 이것은 바로 수도자들이 이 기간 동안 특별히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의 기쁨의 신비를 심화시키겠다는 결의의 강한 상징이다.


F&B2.jpg

수도원은 각 수도회 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수도자들이 많이 모이는 식당이나회의실, 휴게실 등에 성인들의 행적이나 아니면 수도생활에 교훈을 줄 수 있는 교훈적인 내용의 성화를 두는 관습이 있는데, 이 식당에 걸린 성화 역시 가난의 이상을 살아가는 탁발 수도회이나 학문적인 것을 강조하는 수도회의 성격을 강조하여, 수도자들이 식당에서 이 그림을 볼 때 마다 자신들의 사명감을 일깨울 수 있는 교훈적 내용의 그림이다.

그런데 작가는 이런 대단한 교훈적 내용을 담고 있는 장소와 시기에 어울리지 않는 수도자들이 벌리는 해괴한 모습을 고발하고 있다. 먼저 수도자들의 식사는 언제나 검박해야 하고 특히 성주간에는 주님 수난을 묵상하기 위해 더없이 검박해야 하거늘 이 식당의 장면은 참으로 이런 관점의 눈으로 보면 너무도 의아한 것이다.

몇 사람의 수도자들이 앉아 식사하는 식탁에서 봉사하는 수도자들의 수효가 6명이나 되니 참으로 의아하다. 이들은 가난의 극치를 살아가는 탁발 수도자로서 자기 삶의 본질이 “섬김을 받으러 오지 않고 섬기러 오신 주님”을 본받는 것임을 시도 때도 없이 떠들면서, 이 작품에선 무슨 왕자나 된 듯이 편안히 식탁에 앉아 형제들의 봉사를 받고 있는 이지러진 모습이다.

두 명의 손님을 포함해서 9명이 식탁에 앉아 있는데, 시중드는 사람이 6명이나 되니 이 공동체 수도자들이 지닌 봉사에 대한 감각 수준이 한심하다는 것을 읽을 수 있다.


F&B3.jpg

식탁 중앙에 듬직한 체구로 무게를 잡고 있는 사람은 아마 이 수도원의 원장이며 무슨 이유인지 두 사람의 프란치스칸들이 그 좌우에 앉아 있다.

이 두 손님은 불가피한 일로 성주간을 지내는 이 수도원을 방문했거나 아니면 두 수도원간에 성주간에 서로 방문하던 어떤 관례를 지키기 위해 온 공적인 손님들임에 틀림없다.

손님이 오면 존경과 환영의 뜻으로 원장 좌우에 손님 자리를 마련하는 전통을 살려 도미니칸 원장이 중앙에 풍채 좋은 모습으로 앉아 있으며, 그 앞엔 전통적 금요일 요리의 상징인 생선 요리가 놓여 있는데, 그 접시나 요리의 내용이 보통이 아니다.

주님의 수난을 기억하기 위한 극기나 절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고기 요리에 질린 사람이 입맛을 되찾기 위해 만든 생선 요리처럼 고급스럽다. 종교성의 핵심과 극단의 진실을 살기 위해 시작한 수도생활도 얼마나 위선적이 될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접시이다.

그 접시 앞에 앉은 원장 역시 그 당당한 풍채가 성금요일의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다. 수도원장이라면 수도 가족들에게 그 삶으로 모범이 되어야 하는데, 그의 유들유들하게 풍만한 모습은 입으로는 온갖 미끈한 말들을 나열하면서도 실재로는 이 세상 모든 낙을 다 누리며 살아가는 이중성의 상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편에 나타나는 어떤 인간상 “ 인생의 고초는 겪지도 않고 몸뚱이만 피둥피둥 살쪄있도다”라는 말을 상기시키는 모습이다.

그러나 원장은 이 자리에서도 생선 접시와 전혀 맞지 않는 주님 수난의 의미를 담은 미끈한 미사여구의 환영사를 했음이 틀림없고, 이 원장의 처신은 의식이 있는 사람에게는 실망을, 의식이 없는 사람에게는 감동(?)을 주었을 것이다.


F&B4.jpg

성주간은 신앙의 핵심인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의미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것이기에 대부분의 수도자들은 외부의 모든 접촉과 활동을 중지하고, 하느님의 말씀과 기도 안에서 신앙의 위대한 신비에 몰두하는 시기이며,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선 식탁에서도 성서나 성인전을 토대로 한 독서를 하거나 아니면 철저한 침묵의 시간을 갖도록 배려되어 있다.

그런데 원장의 옆자리라는 위치의 상징성으로 보아 수도원에서 상당히 비중 있는 자리에 있는 수도자 둘이 서로 다정히 지껄이고 있다. 형제들이 날라다 주는 맛갈진 생선 요리를 앞에 두고 한담을 즐기고 있다. 침묵해야 할 때 한담을 즐기는 것을 무슨 큰 죄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멋진 성화가 걸려있고 성주간의 상징인 올리브 가지가 문마다 걸린 수도원 식당의 분위기에선 정신이 나가도 이만저만이 아닌 한심한 작태라 볼 수 있다.

수도생활은 원장의 미끈한 말이나 문에 걸린 올리브 가지, 벽에 걸린 성화에만 남아 있고 실재는 전혀 다른 이중성의 극도의 세속성을 아무런 양심 부담도 없이 살아가는 모습을 고발하고 있다.


F&B5.jpg

이 작가가 보여주고자 하는 참된 모습의 수도자는 프란치스칸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들유들하게 살찐 원장의 양 쪽에 프란치스칸이 앉아 있는데, 왼쪽은 좀 나이가 든 수도자이고 오른쪽은 검은 머리로 보아 좀 젊은 수도자이다.

손님으로 갔기에 원장의 양옆 자리에 앉은 영광을 누리고 있으나 마음은 그리 편치 않은 표정이다. 성주간을 철저히 지내고픈 단순한 열망이 있는 이 수도자는 분위기로 봐선 당장 일어나 떠나고 싶지만 손님으로서 지켜야 할 예의를 생각해서 그러지 못하고 앉아 있으나 손님으로서의 기쁘고 온화한 모습이 아닌 깊은 생각에 잠긴 모습이다.

양쪽으로 앉은 주인 격의 수도자들이 맛갈진 생선 요리를 즐기는 사이에 두 손님은 음식을 들지 않고 응시하는 모습에서 손님으로서 예의를 지켜 맛있게 먹을 수도, 너무도 황당한 식탁이라는 생각이 들어 일어서고 싶지만 예의상 그럴 수도 없는 이 수도자들의 착잡한 심정을 읽을 수 있다.


한마디로 두 프란치스칸들은 이 편치 않고 자연스럽지 못한 태도를 통해 무언의 항변을 하고 있다. 복음의 핵심을 살고자 약속한 수도자들이 말로서는 복음을 떠들면서 , 실제 생활은 복음과 거리가 먼 생활을 아무런 양심의 부담도 없이 자연스럽게(?) 꾸리고 있는 철심장의 수도 공동체를 향해 강한 도전을 던지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이 바른 수도자들의 맑은 마음이 전달되기엔 이 수도원 분위기가 너무 경직되어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작가의 삶이나 이것을 제작하게 된 배경은 정확히 알지 못하나, 이 작품이 주는 메시지는 정확히 읽을 수 있는데, 교회 역사 안에서 쉼없이 이어진 부패의 모습은 주님 말씀의 핵심을 살기 위해 시작된 수도 공동체에서도 예외가 아니기에 공동체의 현실을 정확히 진단하면서 경각심을 가지고 살아달라는 교훈이다.

이 작품은 도미니칸들을 사랑하는 사람이 자기 고발의 관점에서 그린 것인지, 아니면 프란치스칸이 형제로 여기며 사랑하는 도미니칸 들이 탁발의 영성을 잊고 학문연구를 핑계로 탁발 정신을 망각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형제적 충고의 정신으로 고발하는 것인지 분명치 않으나 확실한 것은 복음을 살기로 약속한 집단이나 개인이 지녀야 할 강한 경각심을 표현하고 있다.

도미니칸이든 프란치스칸이든 문제가 아니다. 이 작품은 프란치스칸이나 도미니칸 아니면 모든 관람자들이 자기들의 시각에서 읽을 때 자기가 살아야 할 복음적 삶의 지혜를 찾을 수 있는 좋은 교훈적 초대가 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프란치스칸들도 도미니칸 못지않게 이런 안일과 부패의 나락에 빠져 든일이 있다. 어느 수도집단이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어느 정도 외적인 성장을 이루고 나면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자기도취의 안일이 동반하는 부패에 빠지기 쉽고 이것은 자기 붕괴의 길로 나아갈 수 있기에 자기 자신이나 자기가 몸담은 집단의 현실에 대한 정직하고 냉정한 안목을 가지라는 초대이다.

교회에서는 이 말을 “깨어 있으라”는 것으로 자주 표현하나 너무 자주 듣다보니 아무런 경각심도 주지 못하는 공염불에 그치기 쉬운 현실에서 이 작가는 수도원의 한 장면을 통해 수도생활의 근본인 회심(回心)을 향한 강력한 초대를 하고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성화이야기

이요한 신부님의 성화해설 나눔게시판입니다.

  1. 알브레이트 듀러-헬러 제단화

  2. 피터 클라스-바니타스

  3. 오라치오 젠틸레스키-천사의 도움을 받는 성 프란치스꼬

  4. 빌 비올라 - 십자가 성요한의 방

  5. 죠르쥬 루오-거룩한 얼굴

  6. 틴토레또-수산나의 목욕

  7. 기적의 고기잡이-콘라드 비츠

  8. 라페엘로 산치오-예수의 거룩한 변모

  9. 카롤로 크리벨리 - 마리아 막달레나

  10. 피에르 퓌비 드 사반-가난한 어부

Board Pagination ‹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43 Next ›
/ 4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