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우리의 역할을 말씀하십니다.
오늘 말씀에 나오는 우리의 역할은 종입니다.
종이라는 모습에서 주인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주인이 누구인지
예수님께서 정확하게 말씀하시지는 않지만
우리가 종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분부를 하는 주인이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주인과 종의 관계에서 종은 주인에게 속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모습을 보면
우리는 자유인으로
다른 사람에게 속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의 주인은
다른 사람을 가리키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누구에게 속한다면
그것은 우리를 만드신 하느님께만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관점에서 우리의 주인은 하느님이십니다.
그렇게 우리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분부하신 것을 실행합니다.
하지만 여기에서 또 중요하게 생각할 점은
그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이신지입니다.
그 주인은 우리에게 힘을 과시하기 위해서
우리를 함부로 대하고
자기 명령에 복종시키기 위해서
자기의 감정에 따라 우리를 대하는 주인이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채워주시기 위해
애쓰는 주인이십니다.
또한 좋은 것을 주시지만
그 좋은 것을 받으라고 강요하지 않으십니다.
순종이라는 이름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의 몫입니다.
때로는 하느님께서 주시는 것이
좋은 것만 있지는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좋은 것만 있다면
우리가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지금 당장 이해되지 않는 것들
소위 말하는
하느님께서 우리를 시험하시는 것처럼
보이는 순간도 있습니다.
하느님과의 관계에 머물기 위해서
그 순간을 어떻게 지나가는지가
우리에게 중요할 것입니다.
쉽지 않은 순간을 벗어나기 위한 행동은
자칫 하느님과의 관계를 끊는 결과를 가지고 오기도 합니다.
어떻게 보면 그 순간이
하느님의 참 모습을 알아가는 시간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물론 그 안에서 사랑의 하느님을 느끼기는 어렵지만
잠시 그 순간에 머물러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폭군으로 대하지 않으시기에
그 시간이 마냥 고통으로만 다가오지는 않을 것입니다.
쓸모없는 종이라는 표현은
하느님께서 자비의 아버지이시기에
가능한 표현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