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말씀나누기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by 김명겸요한 posted Sep 08,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마태오 복음사가는 예수님의 족보에서
 예수님께서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셨음을
 분명히 말합니다.
 이스라엘 사회가 남성 중심이었기에
 족보에 나오는 이름은 대부분 남자들이지만
 몇 명 안되는 여자 이름 가운데
 마리아도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마리아의 경우는
 다른 여자들과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된 것들을 보면
 누가(남자) 누구(여자)에게서 자손을 낳았다는 식입니다.
 하지만 마리아의 경우
 누구(여자)에게서 자손이 태어났다고 말합니다.
 예수님을 주어로 하다보니
 문장에서 예수님의 아버지인 요셉이 빠졌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리아의 경우만 그런 식인 것을 보면
 마태오가 일부러 그렇게 표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예수님의 탄생은 다른 사람들처럼
 남자와 여자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마태오는 이렇게 표현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물론 우리는 이어지는 구절에서
 요셉의 협력도 있었음을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그 협력은 다른 사람이 태어났을 때와
 다르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마리아를 통해 인간이 되시어
 우리에게 오셨습니다.
 그것은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하시기 위한 것이었음을
 복음은 우리에게 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그 사건에 있어서
 마리아의 역할이 중요했다는 것을
 복음은 은연중에 이야기합니다.
 복음의 청자가 유다인이다보니
 아무래도 이방인을 대상으로 하는 루카복음만큼
 여자를 묘사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마태오는 나름 마리아를 중요하게 언급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
 더 나아가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하시는 길에
 마리아의 역할이 중요했기에
 마태오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던 것입니다.

 마태오는 그러면서도 균형을 잘 잡는 것 같습니다.
 마리아의 중요성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중심에는 항상 예수님을 두고 있습니다.
 우리 구원을 위한 마리아의 역할을 잊지 않으면서도
 우리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우리도 항상 기억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