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y 고인현 도미니코 신부 ofm
아니마또레(이태리어): '보듬어 주고 활력과 영감을 불어넣는 자'를 의미합니다.
에페소 공의회(431년)에서 하느님의 어머니로 선포한 성모님을 ‘평화의 모후’이시며 ‘모든 피조물의 모후’(찬미받으소서 241항)로 모시며 중동과 한반도의 평화 그리고 생태적 회심(인간영혼과 자연의 회복)을
지향하는 온라인 기도방입니다。
지향하는 온라인 기도방입니다。
----------------------


그때에 사람들이 마귀 들려 말못하는 사람 하나를 예수님께 데려왔다.(마태 9,32)
말못하는 이의 혀가 풀리다
그리스어로 ‘코포스’kophos는 벙어리보다는 귀머거리를 가리키는 말로 더 지주 사용됩니다. 그러나 성경은 벙어리와 귀머거리를 구별하지 않고 다 ‘코포스’라고 표현합니다. 영적으로 풀이하면, 눈먼 사람들이 빛을 받듯이, 말못하는 사람이 말을 하고 한때 그가 거부했던 분께 영광을 바칠 수 있도록 혀가 풀립니다.
-히에로니무스-


마이스터 엑카르트는 이렇게 말했다(대지를 품어 안은 엑카르트 영성) / 매튜 폭스 해제 · 주석
【둘째 오솔길】
버림과 그대로 둠
설교 20
버림과 그대로 둠은 어떻게 열매를 맺는가
여행 중에 예수께서 어떤 마을에 들르셨는데 마르타라는 여자가 집으로 모셔 들였다(루카 10,38).
열매 맺음에 대해 말하는 본 설교에서 엑카르트는 영의 열매라는 개념을 가지고 놀이를 한다. 그가 말하는 영의 열매는 기쁨, 젊음, 영원, 그리고 단순성이다. 그는 요한 복음에 약속되어 있는 기쁨, 곧 신적인 기쁨을 약속한다. 이 기쁨은 자신 안에 있을 때만큼이나 모든 기쁨과 모든 영예 속에서 푸릇푸릇하고 꽃을 활짝 피우는 하느님으로부터 우리에게로 오는 기쁨이다. 그 기쁨은 형언할 수 없는 기쁨이다: 이토록 기쁨과 환희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며,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크다. 그러하기에 그 기쁨에 대해서는 누구도 충분히 말할 수 없다. 이 기쁨은 고통을 이긴다. 그 사람의 기쁨은 너무나 커서, 모든 고통과 가난도 하찮은 것이 되고 만다. 엑카르트가 말하는 부정의 길의 절정은 기쁨이다. 쉬르만은 엑카르트가 제시하는 길을 일컬어 “돌아다니는 기쁨”의 길. 방랑하는 기쁨의 길이라고 부른다. 그 기쁨은 땅에서 시작된 하늘의 기쁨, 실현된 종말론의 기쁨. 이미 시작된 메시아 시대의 기쁨이다. 그러한 사람은 “기쁨 속에서 살게 마련이다.”(420)


<금주간 성서읽기> 로마 8-13장
<생태 돌봄 주간> 자신. 이웃. 동물과 식물. 자연환경


거룩한 성심에 대한 묵상, 요셉 맥도넬 신부
성심에 대한 묵상
첫 번째 시리즈
첫 금요일 신심
VI.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심의 이미지
두 번째 묵상: 광선, 불꽃, 가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