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께서 부활하시어
세 번째로 제자들에게 나타나십니다.
손수 아침을 준비해 주시고
제자들과 함께하십니다.
아침을 먹은 다음에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물으십니다.
세 번에 걸친 사랑 질문에
매번 예수님의 임무를 맡기는 말씀이 이어집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이 케파, 베드로라고 이름을 주신 시몬에게
당신의 양들을 맡기십니다.
요한복음이 시작하면서
당신께서 반석이라고 이름을 주시고
요한복음이 마치면서
이제는 그 반석이 어떤 역할을 할지 알려주십니다.
그 베드로는 예수님을 세 번이나 모른다고 부인했음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런 그에게 예수님께서는 중요한 임무를 맡기십니다.
베드로의 연약함을 보아서는
그 임무에 적임자는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예수님의 생각은 다른 것 같습니다.
임무를 맡기시기 전에 예수님께서는
당신에 대한 사랑을 물으십니다.
당신의 양떼를 맡기 위해서
하느님에 대한 사랑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더욱이 세 번의 부인으로 베드로도
자신이 그 임무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을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여기에서 베드로에게
그의 약한 모습을 직면할 수 있게 도와주십니다.
자신의 나약함을 덮고 가는 것이 아니라
직면하면서
베드로는 자신의 나약함을 딛고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습니다.
예수님에 대한 사랑 고백은
또한 자신의 나약함을 직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자신에 대한 사랑 고백을 함께 담고 있습니다.
그것을 위해 요한복음사가는
대화의 장소를 숯불 옆으로 이야기합니다.
앞서 베드로는 숯불을 쬐면서 예수님을 배반했지만
이제 숯불 옆에서 그 모습을 다시 바라보면서
사랑을 고백합니다.
우리의 실수, 우리의 약함이
하느님께 나아가는 우리의 발목을 잡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약함을 다시 바라보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바라볼 힘도
그것을 딛고 일어날 용기도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십니다.
베드로처럼 우리도 하느님께 사랑을 고백하면서
우리 자신에 대한 사랑도 함께 키워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