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연중 27주 월요일-사랑은 행동으로 말한다

by 당쇠 posted Oct 06,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누가 이웃인가?
장소적으로 또는 거리적으로 이웃한 사람을 이웃이라 한다면
저의 이웃은 정동에 집이나 일터를 둔 사람들일 것입니다.
그러나 솔직히-부끄러운 얘기이지만-저는 제 이웃이 누군지
대부분 알지 못합니다.
찾아간 적도 없지만 부딪히는 일도 별로 없습니다.
이런 이웃을 이웃이라 할 수 없겠지요.
그러니 이웃은 장소적 가까움이 아니고
관계적인 가까움이 되겠습니다.

그런데 요즘처럼 통신이 발달하고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소통방식이 활발한 시대에는
관계적 가까움도
통신이나 인터넷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식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 같은 통신과 인터넷 지진아(遲進兒)는
그러지 않아도 관계적 가까움에 서툰데
더더욱 그리고 갈수록 관계가 멀어지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관계가 멀어진다는 느낌은
관계 횟수의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비록 늦되기는 하지만 저도 몇 달 전부터
저희 수도원 Home Page에 글 올리는 것을 배워
이렇게 매일 강론을 올리고 이것을 통해 매일같이 누군가와 만나지만
이것으로 이웃을 가까이 만난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습니다.
저를 이미 알고 있는 분이 이 글을 읽고 반응을 하거나
이 글을 통해서 저를 off line에서 만나게 된 분은 이웃으로 느껴지지만
그렇지 않은 많은 분들은 저의 이웃이라는 느낌보다는
자기에게 필요한 것만 쏙 빼가는 이용자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웃이란 인격적 관계의 대상을 말함이고
인격적 관계의 대상이란 불특정 다수가 아니라
구체적인 내 사랑의 대상을 말함입니다.
그에게 내가 유일한 사랑인 듯이 사랑할 때 나는 그의 이웃이요
나에게 그가 유일한 사랑인 듯이 사랑할 때 그는 나의 이웃이 되는
그런 이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웃사랑은 Personal Love in Action입니다.

오늘 주님의 비유에서
착한 사마리아 사람은 다른 사람이 하겠지 하고 미루지 않고
나 아니면 할 사람이 없는 듯이 상처 입은 사람을 돌보았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작은별 2008.10.06 10:41:35
    -나 아니면 할 사람이 없는 듯이 상처 입은 사람을 돌보았습니다-

    착한사마리아 사람이 될 수 있는 기회는 얼마나 많았었는지...
    또한 구체적인 내사랑의 대상은 얼마나 많은지...
  • ?
    홈페이지 돌담길 2008.10.06 10:41:35
    필요한 부분을 자주 쏙 빼가지고 간 영성학교 8기생입니다(영성학교8기 카페에 올리고 있습니다^^)...신부님의 이웃이 되기 위하여 감사한 마음을 전해드립니다~~~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